통합민주당이 초조하다.

이명박 정부에 대한 비판적인 여론을 타고 지난 1일부터 정부의 쇠고기 고시 철회를 요구하며 장외로 뛰쳐나갔지만 뚜렷한 정치적 이득을 챙기지 못하고 있어서다.

벌써 당 일각에서는 "이럴 바에는 원내정치도 병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터져나오고 있다.

2일 발표된 여론조사에 따르면 민주당 지지율은 제자리걸음을 하거나 뒷걸음질쳤다.

조선일보-한국갤럽 조사에서 민주당 지지율은 15%(3월2일)에서 16.9%로 소폭 상승하는 데 그쳤으며 한겨레-리서치플러스 조사에서는 17.6%(5월24일)에서 14.2%로 하락했다.

50%를 상회하던 이명박 대통령과 한나라당의 지지율이 각각 30%와 20% 초반대로 떨어진 상황임을 감안하면 반사이익을 전혀 누리지 못한 셈이다.

장외로 나갔으나 시민들의 반응도 기대보다 차갑다.

지난달 31일 김상희 최고위원은 광우병 국민대책회의를 방문해 "당이 진정성을 보이며 국민들의 뜻에 동참하겠다"면서 당 차원의 촛불집회 참가 의사를 밝혔으나 대책위 측은 "개인적 차원에서 겸허히 동참해 달라"며 사실상 거절했다.

1일 규탄대회 직후 개인적으로 촛불집회에 참가한 정세균 천정배 의원 등 당원들에게도 "집회에 늦게 온 주제에 왜 맨 앞자리에 앉느냐" "지금까지 놀다가 열매만 따먹으러 왔느냐"는 시민들의 항의가 잇따랐다.

당내에서는 벌써 투쟁이 장기화될 경우 역풍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쇠고기 문제와 관련해 주도적인 모습을 보이지 못하면서 국회 파행에 따른 책임만 떠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정대철 상임고문은 2일 "18대 국회 원구성도 하지 않은 채 장외 투쟁에 나선 민주당 역시 올바른 의회민주주의를 구성하는 당의 모습이 아니다"며 국회에 들어와 원내투쟁을 병행할 것을 요구했다.

한편 원혜영 원내대표는 자유선진당 민주노동당 원내대표와 회동을 갖고 정부에 고시 관보게재 중지 및 3당 대표와 이명박 대통령의 정치회담 개최,내각 총사퇴를 요구했다.

노경목 기자 autonom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