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로 취임 100일을 맞는 이명박 대통령에 대한 국민들의 평가는 싸늘하기 짝이 없다.

한국경제신문이 중앙리서치에 의뢰해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이 대통령의 국정(國政)수행 능력은 44점, 정부의 신뢰도는 41점이었다.

한마디로 이명박 정부의 위기다.

무엇이 이런 결과를 초래한 것인가.

국민들은 이 대통령의 통치능력중 가장 우선적으로 보완해야 할 점으로 국민의견 수렴(39.4%), 갈등조정(13.2%), 국민설득(12.9%) 등을 지적했다.

말로는 국민들을 섬긴다고 하면서 정작 국민들은 무시당한다는 느낌이 들 정도로 소통과 설득이 부족했다는 얘기다.

생각해 보면 인수위 때부터 앞뒤 가리지 않고 쏟아냈던 정책들이 그러했고, 쇠고기 협상과정에서도 그런 점이 있었음을 부인하기 어렵다.

여기에 내각과 청와대 인선도 국민을 섬기겠다는 것과는 거리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새 정부는 경제를 살려달라는 국민들의 높은 기대를 안고 출발했지만 국민들은 미래의 비전이 무엇인지 모르겠다고 한다.

자고 나면 물가는 뛰고, 고용사정은 더욱 어려워지고 있는 상황에서 국민들의 불안을 과연 얼마나 헤아렸는지 반성해 볼 대목이다.

이 대통령은 어제 강재섭 한나라당 대표와의 정례회동에서 민심수습방안을 곧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기회에 인적쇄신 차원을 넘어 경제를 살리겠다는 초심(初心)으로 돌아가 국민들이 희망을 가질 수 있는 정치를 펴고, 정책을 개발하겠다는 자세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본다.

청와대와 정부여당은 그런 바탕 위에서 정책의 우선순위를 분명히 하고, 국민의견 수렴에 각별히 신경 써야 하며, 국민에 대한 설득이 필요하다면 이해를 구하는 합당한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현 정부의 성공 여부를 더 지켜보겠다는 응답이 46%에 이른다는 것은 아직 기회가 있다는 뜻이다.

정부가 국정 100일을 교훈삼아 심기일전한다면 국민들의 마음을 충분히 되돌릴 수 있다.

야당도 거리의 시위는 정치권 전체의 무능함을 보여주는 것에 다름아니란 점에서 무작정 장외투쟁으로 일관할 일이 아니다. 여야가 국회에 모여 비판과 토론을 통해 국정을 이끌어 가는 성숙한 자세를 보여야 한다.이것이 국회의원의 의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