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투자자들이 증권사에서 돈을 빌려 주식을 사는 신용융자가 크게 늘어 증권사들이 고심하고 있다.

증권사들은 자기자본을 초과하는 신용융자분을 자율적으로 올 6월 말까지 축소키로 했으나,일반투자자들의 수요가 계속 늘고 있기 때문이다.

대형 증권사들은 과도한 신용융자는 증시가 하락할 경우 고객의 피해로 돌아오게 되는 만큼 확대에 신중한 모습이다.

반면 규모가 작은 중소형사와 온라인 증권사들은 신용한도가 상대적으로 적어 고객 확보에 애를 먹고 있다며 자기자본같은 총량규제보다 보증금 등의 비율규제로 탄력있게 대응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18일 증권업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말 5조5000여억원을 정점으로 계속 줄어들던 신용융자잔액은 주가 반등을 타고 증가세로 반전해 이달 15일 현재 3조9115억원으로 3월 말보다 4434억원 늘었다.

신용융자는 대우증권이 3월 말 이후 537억원 증가한 것을 비롯해 삼성증권(315억원) 우리투자증권(230억원) 등 대형사들이 모두 늘어나는 추세다.

주식을 담보로 돈을 빌리는 예탁증권담보대출도 눈에 띄게 늘고 있다.

담보대출 잔액은 지난 15일 5조2872억원에 달해 작년 말보다도 2650억원 이상 많아졌다.

이처럼 신용거래가 급증하고 있지만 소형 증권사들은 자기자본이 적어 고객들의 수요를 맞추지 못하고 있다며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

작년 말 개정된 증권업 감독규정은 증권사별 신용융자와 담보대출 등 총 신용공여한도를 자기자본 이내로 제한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증권사들은 자율결의를 통해 6월 말까지 신용공여잔액을 자기자본 미만으로 낮추기로 합의한 상태다.

문제는 온라인 증권사와 같은 소형사들이다.

자기자본이 3367억원인 키움증권의 경우 작년 말 기준 신용공여액이 5482억원으로 자기자본의 162%에 이른다.

자기자본이 964억원에 불과한 이트레이드증권은 181%나 된다.

키움증권 관계자는 "자기자본이 많게는 2조원대인 대형사들은 신용공여 비율이 40~50%대여서 신용서비스를 확대할 여지가 많지만 소형사들은 신용거래수요가 늘어도 자기자본 기준에 막혀 대응할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에 따라 총량규제 대신 보증금비율이나 담보비율 등 비율규제로 전환해야 공정한 경쟁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대형사의 신용공여 비율은 작년 말 기준으로 대우증권 38%,우리투자 39%,현대 41%,대신 42%,한국투자 43%,동양 45%, 삼성 50% 등 대부분이 50% 이하다.

다른 소형 증권사 관계자는 "최근 일부 대형사들이 은행연계 위탁매매 수수료율을 업계 최저 수준으로 낮추며 공격적으로 영업에 나서면서 소형사들의 입지가 더욱 흔들리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그는 "앞으로 자본시장통합법이 시행되면 위탁매매에 특화한 미니 증권사들이 속속 등장하게 돼 자기자본같은 총량규제가 바뀌지 않으면 영업에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대형 증권사 관계자는 "증시가 하락세로 돌아서면 과도한 신용거래는 고객의 피해를 초래하게 된다"며 "신용융자는 증권사의 수익이 아니라 투자자의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해영 기자 bon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