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초의 내륙 경제자유구역인 대구ㆍ경북경제자유구역(FEZ)이 공식지정됨에 따라 관련 개발 사업이 발빠르게 추진된다.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위해 대구ㆍ경북 시도민 100만 명이 서명운동에 동참할 정도로 관심이 높았다는 점에서 개발사업에 대한 지역민들의 기대가 크다.

특히 이번 사업은 대구ㆍ경북경제통합에도 새로운 활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대ㆍ경FEZ는 기존 전략산업 추진지역이 대부분 그대로 지정됐기 때문에 빈 종이에 새로운 지도를 그려야 하는 국내의 다른 FEZ들과는 사업 추진방식에서 부터 상당한 차이를 보일 전망이다.

△개요=대구ㆍ경북FEZ는 당초(34.7㎢)보다 14.1% 확대된 11개 지구 39.6㎢로 대구~구미~경산~영천~포항을 연결한다.

최종 지정과정에서 포항(3.8㎢)이 새로 추가됐고 영천,경산지역의 면적이 부분적으로 늘어났다.

총 사업비는 4조6078억원으로 추정된다.

내륙형 지식경제자유구역이라는 새로운 모델에 따라 지식기반 서비스업이 중점 육성된다.

국제교육지구에는 해외 명문학교의 분교와 국제 학술전문기관 유치를 통한 국제학술클러스터로 조성된다.

건강ㆍ의료산업지구에는 외국종합병원, 의료기기 전문기업 등을 포괄하는 도심형 의료관광 및 의료기기전용 산업단지가 들어서게 된다.

지식기반 제조업지구에는 동북아 최대 모바일 산업 클러스터 및 첨단 부품ㆍ소재산업 단지조성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향후 2020년까지 생산유발 102조원, 부가가치유발 53조원, 고용유발 18만명을 예상하고 있다.

△개별사업별 일정=성서5차 첨단산단은 오는 9월 산업용지 분양 공고를 실시하고 자동차, 전기ㆍ전자 및 정보통신분야의 국내 유력기업 및 유망 외투기업을 중점 유치한다.

이시아폴리스는 5월 초 산업ㆍ상업용지를 분양하며 외국호텔 및 글로벌 디자인연구센터를 유치한다.

테크노폴리스는 2009년 분양을 목표로 올 하반기까지 글로벌 연구기관 및 지능형 자동차부품, 로봇, 신재생에너지, 모바일 관련 첨단기업 등을 대상으로 내년부터 본격적인 유치 활동에 들어간다.

수성의료지구에는 투자유치 방안을 확정한 뒤 올 하반기쯤 개발사업자를 선정한다.

대명동 계명대 캠퍼스 일대의 국제문화산업지구는 최근 문화산업진흥지구로 지정돼 대구경북연구원에서 지구개발 방안을 연구 중이다.

영천첨단부품소재산업지구는 하이브리드 기계소재ㆍ부품산업,지능형자동차부품산업이 집중 육성된다.

구미디지털산업,경산학원연구,영천하이테크파크, 포항융합기술산업지구는 신규 개발지로 R&D관련 산업,국제교육,메카트로닉스,바이오ㆍ의료산업 등이 들어선다.

△정주여건 개선=외국인 투자 및 우수인력 유치에 필수적인 자녀교육문제 해결을 위해 대구 수성의료지구, 국제패션디자인지구, 구미 디지털산업지구, 경산 학원연구지구, 포항 융합기술산업지구에 각각 국제학교가 설립된다.

수성의료지구와 국제패션디자인지구에는 지구 특성에 맞게 초ㆍ중ㆍ고ㆍ대학을 적절히 배치할 예정이다.

경북지역 지구에는 대학 중심으로 학교를 유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일정 요건을 갖춘 일반병원을 외국인 진료병원으로 지정해 24시간 의료서비스도 제공할 방침이다.

△신규 지정된 포항=포항지구는 북구 흥해읍 대련ㆍ이인리 일원 3.75㎢에 2013년까지 총 사업비 2조4000억원이 투입된다.

융합산업 및 기술콤플렉스,글로벌교육문화타운,국제지식비즈니스 파크, 외국인정주용 글로벌 빌리지,공공지원시설 용지로 구분돼 지식 기반산업과 바이오,신소재,에너지,하이테크부품 산업체와 국제컨벤션센터로 조성된다.

내년 8월 영일만항 컨테이너부두 개항,영일만항 배후산업단지 개발,한ㆍ일협력부품산업단지 개발,항만형자유무역지역 지정으로 각종 개발사업이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FEZ추가 지정 추진=대통령 공약으로 달성군 구지면 일원에 890만㎡에 추진 중인 대구국가산단과 동대구역세권을 FEZ로 추가하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그러나 실제 대구경북FEZ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신설 국가산단과 동대구역세권을 FEZ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입장을 정리하고 경제자유구역청 개청 이후 추가 지정을 검토하고 있다.

특히 동대구역세권은 비행안전구역에 묶여 층고제한 등의 규제가 있는 만큼 FEZ 지정을 통해 각종 규제를 완화해 외국자본이나 민간자본 유입을 용이하게 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구=신경원 기자 shink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