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과 후쿠다 야스오 일본 총리간 정상회담은 한마디로 새로운 시대의 한ㆍ일관계 구축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볼 수 있다.

셔틀외교의 복원을 통한 정상외교의 활성화를 비롯해 인적교류와 경제협력의 확대ㆍ강화, 북핵문제 공조(共助) 등 양국 정상간 합의내용이 대부분 미래지향적이고 실용적인 것들이다.

특히 주목되는 것은 경제협력을 확대ㆍ강화하겠다고 합의한 대목이다.

따지고 보면 미래지향적 한ㆍ일관계는 양국이 얼마나 실질적인 경제협력 체제를 구축하느냐에 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 점에서 양국 정상이 한ㆍ일 자유무역협정(FTA) 교섭 재개를 위한 실무협의를 6월 중 개최키로 한 것은 큰 의미가 있다.

2004년 말 한ㆍ일FTA 교섭이 중단된 배경을 돌이켜 볼 때 당시 일본은 대일 적자규모 확대를 우려하는 한국측의 산업구조 불균형 시정 요구에 소극적이었다.

지금도 대일역조 문제는 심각하다.

지난해 대일 무역적자는 300억달러에 육박했고, 부품ㆍ소재가 그 주요인이었다.

그러나 달라진 것은 일본이 그 때에 비해 적극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는 점이다.

이 대통령은 일본기업을 위한 부품ㆍ소재 전용공단을 검토하겠다고 밝혔고, 이레 후쿠다 총리는 앙국간 부품ㆍ소재산업 협력확대에 기대를 표시했다.

노사관계 규제 등의 측면에서 매력적인 투자환경을 조성해야 하는 건 우리의 몫이지만 일본도 적극적인 대한투자에 나서준다면 양국간 경제협력이 한차원 더 높아질 것이고, 한ㆍ일FTA 체결도 그만큼 앞당겨질 수 있을 것이다.

이번 정상회담에서 빼놓을 수 없는 또 한가지 성과는 한ㆍ일 비즈니스 서밋 라운드테이블의 출범(出帆)이다.도쿄에서 가진 제1회 회의에서 한ㆍ일 경제계 리더들은 무역 및 투자촉진을 위한 별도의 협의기관 설치와, 이를 통한 양국의 투자환경 정비와 개선, 부품소재 분야에서의 기술 인력 등 협력 확대, 환경 및 에너지분야 협력기반 정비 등에 합의했다.

정부 차원의 협력과 함께 한ㆍ일 경제계 지도자들의 이런 역할이 한ㆍ일 파트너십을 더욱 공고히 할 것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이번 정상회담 및 재계간 합의를 실천할 수 있는 실질적인 후속조치들이 조속히 뒤따라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