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평 아파트를 은행에 담보로 잡히고 1억원을 대출받았다.

3000만원의 후원금도 모았다.

턱도 없다.

선거운동 10일 만에 다 소진했다.

선거일까지 5000만원 정도를 더 신용대출 받을 생각인데 걱정이다."(수도권에 출마한 정치신인 A후보)

"LCD모니터가 갖춰진 유세차량 임대비로 5000만원,유권자 가정으로 보내는 팸플릿 인쇄비용 2500만원,율동팀 등 선거운동원의 일당 및 식사비 등으로 3000만원을 사용했다."(수도권 출마자 B후보)

4·9 총선 유세전이 종반으로 접어들자 각 후보들은 한 표라도 더 잡기 위해 쓸 수 있는 모든 선거자금을 투입하고 있다.

돈은 선거에 절대적이다.

막판에 돈선거 양상이 전국 곳곳에서 포착되고 있다.

물론 '20억원을 쓰면 당선되고 10억원을 쓰면 낙선한다'는 '20당 10락'설은 옛말이 됐지만 여전히 정상적이든 음성적이든 돈이 풀리고 있다는 얘기다.

4년 만에 다시 선 총선시장에 풀리는 돈은 5000억원 정도로 추산된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1억원+(인구수X200원)+(읍.면.동수X200원)'의 계산식을 적용해 전국 245개 지역구에서 후보 1명이 사용할 수 있는 법정 선거비용 한도액을 정했다.

평균 한도는 1억8600만원이다.

물가 상승분이 반영돼 17대 총선 때보다 1600만원 늘어났다.

이번 총선 후보가 총 1117명인 점을 감안하면 공식 선거기간인 13일 동안 약 2000억원 규모의 시장이 서는 것이다.

여기에 여론조사비와 사무실 운영비,조직관리비 등 선거준비 비용 2억원 정도를 합하면 실제 선거에 풀리는 돈은 훨씬 많다.

실제 지난 16대 총선 후보들을 인터뷰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후보 1명의 평균 선거자금 조달액수는 5억1200만원 정도였다.

신고한 선거비용(평균 1억원)의 다섯배나 된다.

이에 비춰보면 이번 총선의 1명당 선거비용도 5억원을 넘을 것으로 추산되고 전체 선거비도 5000억원을 넘을 것이라는 얘기다.

일시적이지만 후보들이 일종의 투자를 통해 관련업계에 매출증대와 고용창출 효과를 만들어 내는 특수인 셈이다.

정치컨설팅업체인 '민(民)'의 박성민 대표는 "과거 20억원을 선거비로 쓰면 당선되고 10억원을 쓰면 낙선한다는 소문(20당10락)은 과장된 점이 없지 않았다"면서 "요즈음은 금품 선거 등이 줄어들어 선거비가 축소되는 추세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총선 결과는 주가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해석될 만큼 들쭉날쭉이었다.

지난 13대부터 17대까지 총선 한 달 뒤 주가가 오른 적은 두 번이었고 내린 적이 세 번이었다.

오른 경우는 1988년,1996년의 13대와 15대 때로 각각 7.27포인트와 12.07포인트 상승했다.

당시 경기흐름은 비교적 양호했다.

노무현 대통령에 대한 탄핵역풍이 불었던 2004년 17대 때는 16.14포인트 하락했다.

선거결과보다는 그때그때 경제여건에 따라 주가가 움직였다는 의미다.

김홍열/강동균/노경목 기자 com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