잉여인력으로 분류돼 1일부터 중앙공무원교육원에서 6개월간 '특별교육'을 받게 되는 중앙 정부 부처 4급 이상 무보직 고위 간부는 모두 200여명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31일 행정안전부 등에 따르면 15개 정부 부처는 이날 현재 보직을 받지 못한 4급 이상 간부 공무원 200여명을 교육 대상자로 행안부에 통보했다.

이처럼 구조조정이 본격화됨에 따라 공무원 사회도 술렁이고 있다.

6개월간의 교육기간 중 보직을 받지 못할 경우 2,3차 추가 교육을 받거나 명예퇴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대상 간부들을 직급별로 보면 고위 공무원단에 소속된 국장급 간부가 40여명이고,3~4급 과장급이 160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부처별로는 기획재정부가 50여명으로 가장 많았고 국토해양부와 교육과학기술부는 각각 40여명, 농림수산식품부는 19명 등인 것으로 전해졌다.

교육 대상자로 선정된 간부 공무원 가운데 연말 퇴직을 앞두고 있는 일부 인사들은 명예퇴직을 신청해 이번 교육에서 제외됐다.

재정부 관계자는 "이름이 오른 고위 공무원 중엔 파견예정자,퇴직예정자 등이 들어 있어 실제 교육대상으로 선정될 인원은 예상보다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또 상당수 부처들은 '인위적인 인원 지키기'로 질타를 받았던 태스크포스(TF)팀을 해체했지만 교육 대상자는 TF팀 소속이 아닌 다른 부서 인원으로 뽑기도 했다.

핵심 인력이 모두 TF팀에 속해 있다는 이유에서다.

우수 인력을 TF팀에 집중 배치했던 국토해양부의 경우 일단 업무 능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평가받아 오던 간부를 교육대상자로 선정했다.

대신 조만간 인사발령을 새로 내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보건복지가족부의 경우도 3월27일 해체한 국정과제추진 상황점검 TF,사회복무지원 TF,보육사업전자바우처도입 TF,노인장기요양보험 인프라 확충지원 TF 등 4개 TF 소속 고위 공무원의 상당수를 제외하는 대신 10여명의 다른 부서 인원을 교육대상자로 선정했다.

한편 이 밖에 나머지 5급 이하 특별교육대상 중하위급 공무원 1800여명도 이달 중 추가로 선정될 예정이다.

특히 각 부처 내부에선 이번 교육 대상자가 사실상 잉여인력 감축을 위한 '대기 발령'으로 해석하고 있어 대규모 구조조정 작업에 따른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한 부처의 관계자는 "특별한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TF에 내부 핵심 인력 등도 많이 배치됐던 것인데 갑작스런 해체 작업으로 직원들이 일손을 제대로 잡지 못하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행안부 관계자는 "6개월 과정의 교육이 끝날 때까지 보직을 받지 못하면 2,3차 추가 교육을 받거나 명예퇴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200여명의 교육 대상자들은 1일부터 6개월 과정으로 교육을 받게 된다.

국장급은 중앙공무원교육원에서 6개월간,과장급은 2개월은 중앙공무원교육원에서 나머지 4개월은 각 기관에서 교육을 받는다.

김태철/김문권/류시훈 기자 synerg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