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물價 상승..소비감소로 이어지지 않아"-한양證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곡물가격 상승은 국내 식료품물가에 즉각적으로 반영되지만, 식료품 물가 상승이 소비지출 감소로 이어지지는 않는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25일 한양증권은 과거 4년간(2004년 1월~2008년 1월)의 데이터를 활용해 식료품가격을 포함한 국내 소비자물가 변동이 소비활동에 미치는 영향과 시차(Time Lag)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상관관계 및 Liner Regression 분석을 위한 프로그램은 SPSS Win을 이용해 통계적 유의성 검증을 실시했다.
결과에 따르면, 농축수산물 가격변동은 식료품물가에 즉각적으로 반영되고 유의성 역시 신뢰구간 99%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료품가격에 전가되는 시차는 과거(2004년1월~2006년1월)에는 3개월이었지만 최근(2006년1월~2008년1월)에는 1개월로 줄어들었다. 이는 최근 원자재 및 곡물가격 급등으로 식료품 가공업체의 원가부담 압박이 커졌기 때문이라는 해석이다.
반면 식료품 물가의 상승은 대형마트와 백화점의 소비에 큰 영향을 주지는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과거(2004년1월~2006년1월)에는 식료품 물가 상승이 식품소비 위축으로 연결되는 시차가 2개월 정도였으나, 최근(2006년1월~2008년1월)에는 4개월로 늘어난 것. 여기에 6개월 지난 시점에서는 식품소비가 오히려 증가한 결과를 보였다.
김승원 한양증권 애널리스트는 "‘기초생필품’이라는 식료품 제품특성에 기인한 결과"라며 "내구재나 사치재와는 달리 가격인상에 따른 수요의 가격탄력도가 낮기 때문에 가격부담이 생기더라도 소비를 급격히 줄일 수 없다"고 분석했다.
이어 "최근들어 식료품 물가의 상승이 소비위축으로 이어지지 않은 것은 PB상품의 가격할인 효과가 반영된 것으고 보인다"면서 "대형마트의 PB상품 확대정책이 판매단가 하락을 견인하는 등 소비자 체감물가지수를 떨어뜨린 것으로 판단된다"고 강조했다.
한편 식료품물가 상승시, 중산층 이상 소득계층에서는 식료품비에 대한 지출비중이 증가한 반면, 저소득층의 경우에는 통계적 연관성은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경닷컴 김하나 기자 hana@hankyung.com
25일 한양증권은 과거 4년간(2004년 1월~2008년 1월)의 데이터를 활용해 식료품가격을 포함한 국내 소비자물가 변동이 소비활동에 미치는 영향과 시차(Time Lag)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상관관계 및 Liner Regression 분석을 위한 프로그램은 SPSS Win을 이용해 통계적 유의성 검증을 실시했다.
결과에 따르면, 농축수산물 가격변동은 식료품물가에 즉각적으로 반영되고 유의성 역시 신뢰구간 99%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료품가격에 전가되는 시차는 과거(2004년1월~2006년1월)에는 3개월이었지만 최근(2006년1월~2008년1월)에는 1개월로 줄어들었다. 이는 최근 원자재 및 곡물가격 급등으로 식료품 가공업체의 원가부담 압박이 커졌기 때문이라는 해석이다.
반면 식료품 물가의 상승은 대형마트와 백화점의 소비에 큰 영향을 주지는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과거(2004년1월~2006년1월)에는 식료품 물가 상승이 식품소비 위축으로 연결되는 시차가 2개월 정도였으나, 최근(2006년1월~2008년1월)에는 4개월로 늘어난 것. 여기에 6개월 지난 시점에서는 식품소비가 오히려 증가한 결과를 보였다.
김승원 한양증권 애널리스트는 "‘기초생필품’이라는 식료품 제품특성에 기인한 결과"라며 "내구재나 사치재와는 달리 가격인상에 따른 수요의 가격탄력도가 낮기 때문에 가격부담이 생기더라도 소비를 급격히 줄일 수 없다"고 분석했다.
이어 "최근들어 식료품 물가의 상승이 소비위축으로 이어지지 않은 것은 PB상품의 가격할인 효과가 반영된 것으고 보인다"면서 "대형마트의 PB상품 확대정책이 판매단가 하락을 견인하는 등 소비자 체감물가지수를 떨어뜨린 것으로 판단된다"고 강조했다.
한편 식료품물가 상승시, 중산층 이상 소득계층에서는 식료품비에 대한 지출비중이 증가한 반면, 저소득층의 경우에는 통계적 연관성은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경닷컴 김하나 기자 han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