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경제부는 신설되는 부처다.현 산업자원부를 중심으로 삼고 과학기술부와 정보통신부의 정책기획 업무를 합쳐 만들어진다.재정기획부 금융위원회 등과 함께 3대 경제부처로 자리매김하며 실물경제 활성화를 지원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일각에선 산자부 등 3개 부처의 주요 기능을 모두 합쳤다는 점에서 기획재정부에 이어 또 하나의 '공룡 경제부처'가 탄생하는 것이라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인수위는 이에 대해 21세기 들어 급변하는 산업 여건을 반영,산업과 실물경제를 전략적으로 종합 지원할 수 있도록 한 조치라고 밝혔다.인수위 관계자는 "예전 정부를 보면 부처별 갈라먹기 식의 조직편제로 인해 산업정책이 표류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고 배경을 설명했다.2003년 차세대성장동력을 추진하면서 각 부처 간 역할 조정에만 8개월이 소요됐던 것이나 정통부와 방송위원회 간 갈등으로 IP-TV시장 선점에 애를 먹고 있는 것 등이 그런 경우다.

지식경제부가 출범하면 실물 경제부처 간 '밥그릇 싸움'으로 인해 적기 지원을 놓치는 일은 없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그간 중복으로 인해 충돌이 빚어졌던 산자부의 산업육성정책과 정통부의 정보통신산업성정책이 한 부처 테두리 내에 들어왔기 때문이다.자동차 중공업 화학 등 '굴뚝산업'의 육성에 주력해 왔던 산자부와 정보기술(IT) 산업 육성에 전념했던 정통부의 정책기능이 통합됨으로써 실물경제의 균형발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됐다는 것이 인수위의 평가다.

또 기초과학 부문을 제외한 과기부의 연구개발(R&D) 정책을 한 부처에서 담당하게 됨에 따라 기초단계에서부터 연구개발을 거쳐 세계 시장으로의 진출이라는 일관된 지원체계도 갖추게 됐다.산업 간의 융합 흐름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고 민간과 더불어 신산업을 적극 창출하는 시스템도 구축될 전망이다.

인수위는 '지식경제부'라는 부처 명칭에 대해 과거와 같은 요소 투입형의 경제가 아닌,기술혁신형 경제 및 지식기반형 경제로 탈바꿈하는 데 첨병이 되라는 의미를 담았다고 설명했다.지식경제부는 실물 중심의 대(大)경제부처인 만큼 산업에 지식과 기술을 접목시킴으로써 한국의 경제구조를 선진국형으로 바꾸고 1인당 국민소득 4만달러 시대를 여는 데 기여해야 할 것이라고 인수위는 강조했다.

하지만 '지식경제부'라는 이름이 다소 모호한 측면이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지식'이라는 낱말이 추상적이어서 이 말만 보고서는 무슨 일을 하는 지 알기 힘들다는 얘기다.차라리 '산업경제부'나 '경제산업부'가 더 와닿는다는 주장이다.더군다나 에너지와 자원이 중시되는 이때 이 업무를 담당하는 부처 이름에 에너지를 명시하지 않았다는 점도 문제라는 지적도 있다.

박준동 기자 jdpow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