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은 미술·전시업계가 싫어하는 계절이다. 날이 추워지면 전시장을 찾는 발걸음이 끊기기 때문이다. 적잖은 미술관과 갤러리가 1월 문을 닫고 봄 전시 준비에 집중하는 이유다. 하지만 ‘작품 좀 본다’는 사람은 이런 전시 비수기의 갤러리를 노린다. 화랑들이 젊고 유망한 작가를 소개하는 기회로 비수기를 활용해서다.올해도 강남 화랑가에서는 연초를 맞아 주목할 만한 젊은 작가들의 전시가 열리고 있다. 서울 신사동 화이트큐브에서 열리는 나이지리아계 작가 툰지 아데니-존스(33)의 개인전과 청담동 지갤리에서 열리는 송예환(30)의 개인전이 단적인 예다. ‘서아프리카의 생명력’을 작품에영국 런던의 나이지리아 이주민 가정에서 태어나 러스킨예술대를 졸업하고, 미국 예일대에서 석사 학위를 받은 뒤 뉴욕에서 활동 중인 아데니-존스는 글로벌 대형 화랑인 화이트큐브의 사랑을 듬뿍 받는 유망 작가다. 2021년 런던 본점에 이어 홍콩과 프랑스에서 관객을 만났고, 이번에 서울에서 화이트큐브와 함께하는 네 번째 전시 ‘무아경’을 열었다.나이지리아 이민자 가정에 뿌리를 둔 그는 서아프리카를 자신의 정신적 뿌리로 여긴다. 그의 작품을 관통하는 주제는 ‘요루바 전통’. 요루바는 ‘삶을 축하한다’는 뜻으로, 서아프리카 전통문화 특유의 긍정적인 마음가짐을 의미한다. 아데니-존스는 “나이지리아를 비롯한 서아프리카 문화권에서는 자연에 영성적인 치유의 힘이 있다고 믿는다”고 했다. 그가 자신의 작품에 서아프리카 전통 의상과 직물에서 따온 색감, 춤추는 듯한 신체의 모습을 담는 이유다.아데니-존스가 본격적으로 주목받기 시작
국립극장 전속단체 국립무용단이 설 명절 기념 공연 ‘2025 축제 祝·祭’를 연다. ‘왕을 위한 축제’라는 주제로 을사년 ‘푸른 뱀의 해’를 기운차게 열고 모두의 행복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았다.이번 공연은 서울 장충동 해오름극장에서 오는 29~30일 이틀간 총 7개 작품이 3장에 걸쳐 펼쳐진다. 지난해 명절 기획 공연에서 사랑받았던 전통춤뿐만 아니라 화려한 춤사위와 장단으로 흥을 돋울 신작도 무대에 오른다. 한국무용이 생소한 관객도 즐겁게 감상할 수 있게끔 전통춤 본연의 멋을 살린 다양한 소품에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연출을 추가했다.1장 ‘구나’는 궁중에서 악귀를 쫓는 의식으로 시작한다. 사귀를 쫓고 경사로운 일을 맞이한다는 의미의 ‘벽사진경’은 묵은해를 보내며 지나간 시간을 반성하고 새해를 설계하는 송구영신의 의미를 담았다. 남성춤의 담백함에 강인한 멋을 더해 역동성을 극대화했다.이어지는 2장 ‘연향’은 손님을 불러 잔치를 베풀고 대접하는 장이다. ‘왕의 행차’는 새해를 맞아 임금이 회례연에 참석하기 위해 행차하는 장면을 그린다. 왕과 왕후의 움직임 속 응축된 힘을 극적으로 표현한다. ‘춘앵전’은 조선 순조 때 창작된 궁중정재의 하나로 절제미가 돋보이는 춤이다. 2장의 마무리는 나쁜 기운을 쫓고 상서로운 기운을 맞이하는 ‘처용무’로 장식한다.마지막 3장 ‘국중대회’는 왕이 주관하는 행사로 한 나라의 구성원 전체가 참여하는 제천 의식이다. 3장은 나라의 풍년과 태평성대를 기원하는 왕비의 마음을 담은 ‘태평무’로 연다. 축원덕담으로 시작해 객석과 함께 호흡하며 즐
1988년 서울올림픽은 한국의 경제 성장과 국제적 위상을 드높인 이벤트였지만, 그 화려한 도약 이면에는 도시화의 명과 암이 공존했다. 도시 정비라는 이름 아래 판자촌과 양철지붕으로 지어진 달동네가 철거됐고, 많은 사람이 삶의 터전을 뺏기고 쫓겨났다.지난 17일과 18일 대구오페라하우스 무대에 오른 창작오페라 ‘양철지붕’은 올림픽을 1년 앞둔 1987년 건설 현장을 배경으로 한다. 건설 노동자들이 고된 일과 후 식사와 잠깐의 휴식을 취하던 함바집에서 인간의 폭력성과 숨겨진 과거가 드러나는 비극적 이야기가 펼쳐진다. 함바집 여주인 유현숙(메조소프라노), 언어장애를 가진 여동생 유지숙(소프라노와 연기자), 그리고 복수를 꿈꾸는 의붓동생 조성호(테너)와 과거의 연인 구광모(바리톤)가 목숨을 걸고 펼쳐내는 비극적 이야기는 도시화 속에서 묻혀버린 소외된 인간의 슬픈 삶을 대변한다.‘양철지붕’은 2022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창작 산실 ‘올해의 신작’으로 선정돼 초연된 이후 2차 제작 지원을 통해 한층 더 완성도를 높였다. 작곡가 안효영은 재공연에서 음악적 디테일과 서사를 더욱 정교하게 다듬으며 초연보다 깊은 작품의 음악적 진화와 감정 깊이를 선보였다. 가장 큰 변화는 구광모의 소멸 직전에 조성호, 구광모, 유현숙, 유지숙 네 인물이 부르는 4중창이 추가된 점이다. 이 장면은 네 명의 등장인물이 저마다 가슴 깊이 품고 사는 갈등의 절정을 극적으로 표현하며 네 인물이 처한 고통과 희망, 원망과 복수를 한 곡 안에 담아내 관객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특히 언어장애가 있는 유지숙을 무대 위에서 연기한 배우 주은주와 오케스트라 피트에서 유지숙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