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해외 각지에서 정부 대변인 역할을 하는 '재외홍보관'을 지난해 모두 공모직으로 바꿨으나 사실상 국정홍보처 직원을 위한 '폐쇄형'으로 운영해 온 것으로 11일 밝혀졌다.

이 같은 사실은 방모 홍보처 단장이 워싱턴의 주미대사관 공보참사관으로 내정되면서 뒤늦게 드러났다.

방 단장은 기자실 통폐합의 실무 책임자.주미 공보참사관은 대미 언론 관계에서 정부의 '입' 역할을 하는 요직이다.

외교가에선 방 단장이 '취재선진화 방안'에 앞장선 데 대해 청와대가 보상 인사를 해 줬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방 단장은 홍보처 내부의 '선발위원회' 심사를 받았으나 위원장이 홍보처 차장이고 이 위원회의 정부위원 4명 중 2명이 홍보처 소속이라 사실상 내부 잔치였다.

지원도 홍보처 내부에서만 2명이 했다.

정부는 재외공관 주재관을 지난해 7월부터 모든 부처 공무원이 공모할 수 있도록 바꿨다.

특정 부처의 독식을 막자는 취지였다.

외교부 차관을 위원장으로 하고 4개 부처 정부위원 4명과 민간위원 4명으로 선발위원회도 만들었다.

그러나 27개 공관에 32명이 나가 있는 재외홍보관은 예외로 하면서 홍보처가 별도의 선발위원회를 만들었고 이를 통해 방씨를 미국에 내보내게 된 것.실제로 지난해 7월 이후 발령난 14명의 홍보관 전원이 홍보처 소속이다. 외교부가 홍보처에만 특혜를 주는 데 강하게 반대했으나 대통령이 '시행 세칙'으로 정해 홍보처를 거들어 줬다는 후문이다.

박성휴 국정홍보처 홍보관리관은 "재외홍보관은 공모직이라 공무원 누구나 지원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칠화 혁신기획관은 "홍보직은 언론 관계와 커뮤니케이션이라는 특수성이 있어 관련 경험이 없는 사람이 맡기엔 곤란하다"고 달리 말했다.

홍보용 원칙과 내부 방침이 다른 셈이다.

정지영 기자 c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