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증권선물거래소(KRX) 상장차익으로 조성되는 '자본시장발전기금'을 금융교육 분야에 대거 지원키로 했다.

이에 따라 대학들이 벌써부터 이 돈을 유치하기 위한 물밑경쟁을 치열하게 벌이고 있다.

대학에 대한 정부의 주요 지원금인 교육인적자원부의 '두뇌한국(BK)21' 사업자금을 훨씬 능가하기 때문이다.

최근 재정경제부가 발표한 '금융허브전략 후속조치'에 따르면 정부는 최대한 이른 시일 내 KRX 상장을 마무리짓고 상장으로 발생하는 기존 주주(회원 증권사)들의 시세 차익(약 3700억원으로 추정) 중 일부를 갹출,자본시장발전기금으로 조성키로 했다.

이는 독점에 따른 이익이어서 회원사들이 모두 챙기게 해선 안된다는 이유에서다.

재경부 관계자는 "자본시장발전기금은 최우선적으로 금융인력 양성에 쓴다는 계획"이라며 "기존 대학 중 금융 실무쪽에 특화된 대학원 과정을 개설한 대학과 협약을 맺고 지원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대학들은 상장 시세차익 3700억원 중 재경부의 대학지원액 규모가 최소 1000억원대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2~3개 대학이 나눠 갖는다면 한 곳당 300억원을 훌쩍 넘는 액수다.

BK21 분야별 지원금액의 10배는 족히 넘는다.

이에 따라 대학들의 발걸음도 바빠지고 있다.

가장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는 곳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으로 이 대학은 인천의 청라지구나 송도에 부지 10만평을 확보해 국제적인 금융인력을 양성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화여대 경영전문대학원도 최근 금융 MBA스쿨을 신설하고 금융회사나 일반 기업의 재무분야에서 고도의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여성 금융인력을 양성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장하성 고려대 경영대학장은 "재무분야 연구성과는 고려대 경영대가 세계 60위권으로 국내 최고"라며 "정식으로 공모를 통해 경쟁한다면 승리를 자신한다"고 말했다.

내년 학기부터 금융MBA 신입생을 뽑기로 한 성균관대 관계자는 "실무 중심의 인재를 배출하려는 것으로 재경부의 금융인력양성 계획과 꼭 들어맞는다"고 주장했다.

경쟁이 과열되면서 대학들 사이에 신경전도 빚어지고 있다.

한 사립대 관계자는 "KAIST는 지난해 이미 재경부로부터 100억원을 지원받아 금융전문대학원을 출범시켰다"며 "이번에도 KAIST에 지원된다면 형평성 논란이 일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KAIST 측은 "잘하는 쪽에 몰아줘 금융교육 분야의 '스타 플레이어'를 키워야 한다"고 반박했다.

하지만 증권업계에서는 대학들이 너무 앞서 나간다고 꼬집고 있다.

내년으로 예상되지만 KRX상장 자체가 아직 불투명한데 벌써부터 상장차익을 놓고 다투는 게 모양새가 좋지 않다는 지적이다.

성선화/차기현 기자 d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