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5.3%, 중국 10.1%, 미국 1.2% 예상

2008년 세계 경제성장률(구매력평가 기준)은 올해의 5.1%보다 떨어진 4.6%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고 영국의 경제주간지 이코노미트가 전망했다.

이코노미스트는 15일 발행한 '2008년 세계 전망'에서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95%를 차지하는 51개국을 기준으로 할 때 서브프라임 모기지론(비우량 주택담보대출) 부실 여파로 인한 미국 경제의 침체로 내년 세계 경제는 올해보다 성장률이 둔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나 금융시장의 불안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막강한 경제 성장에 힘입어 세계 경제가 크게 위축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내년 경제 성장의 주요 견인차는 7% 이상 성장이 예상되는 개발도상국 그룹이며, 특히 중국, 인도, 러시아가 핵심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내년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10.1%, 인도의 경제성장률은 7.9%, 러시아의 경제성장률은 6.3%에 달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에 비해 미국 1.2%, 영국 2.2%, 프랑스 2.2%, 독일 2.5%, 일본 1.9% 등 주요 선진국들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2%대 안팎이다.

내년 세계 최고의 경제성장률을 이룰 나라는 21.1%의 성장이 예상되는 석유수출국 앙골라로 나타났다.

한국은 내년에 5.3%의 경제성장률, 2.4%의 인플레이션을 기록하고 GDP가 1조200억달러에 달할 것이라고 이코노미스트는 진단했다.

대선에서 승리가 예상되는 한나라당 정부는 전 정부의 재분배 의제를 밀쳐놓고 경제 성장 증진에 전력을 기울일 것으로 보인다고 이코노미스트는 말했다.

세계 제1위 경제대국 미국은 주택시장의 붕괴로 소비 심리가 위축돼 경기 침체를 겪을 위험이 크다고 이코노미스트는 말했다.

금융시장에 대한 불안감으로 시중은행들이 대출기준을 강화함에 따라 많은 나라에서 신용을 얻는 게 더 어려워질 전망이다.

중앙은행들은 경기가 급격히 둔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 시장에 유동성을 충분히 공급하고, 인플레이션은 무난히 관리될 것으로 보인다.

약달러는 미국 수출업자들을 도와주는 대신 다른 나라 수출업자들에게는 압박을 가할 것으로 보인다.

고공행진 중인 유가는 내년에 떨어져 유럽시장 거래 브렌트유 기준 배럴당 69달러 주변을 맴돌고, 상품 가격도 공급이 수요를 따라잡음에 따라 1%밖에 오르지 않을 것이라고 이코노미스트는 예상했다.

세계무역기구(WTO) 도하 협상의 부진에도 불구하고 세계 교역은 내년에 7.1% 성장할 전망이다.

(런던연합뉴스) 김진형 특파원 kj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