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초고속인터넷이 일본보다 전송속도가 느리고 요금이 비싸다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자료가 통신업계와 네티즌에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OECD 분석 방식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고 요금 불만도 터져나왔다.

▶본지 11월15일자 A1,14면 참조

통신업계 관계자는 15일 "초고속인터넷 평균 전송속도가 일본은 93Mbps(초당 93메가비트)이고 한국은 43Mbps라는 OECD 발표는 충격적"이라면서 "아마 OECD가 각국의 초고속인터넷 상품별 전송속도를 계산하면서 일본의 1Gbps(초당 1기가비트) 가정용 상품 가입자가 극소수란 점을 감안하지 않은 것 같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1Gbps 상품을 제외하면 한국과 비슷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일본에서는 NTT,소프트뱅크 등이 22개 초고속인터넷 상품을 팔고 있고 가정 광가입자망(FTTH)을 까는 데 주력하고 있다.

특히 NTT이스트와 NTT웨스트가 FTTH 요금을 싸게 매기면서 공격적 마케팅을 벌이고 있다.

일본 초고속인터넷 요금은 디지털가입자망(ADSL)의 경우 3000~4000엔(2만4000~3만2000원),FTTH는 5000~6000엔(4만~5만원) 수준이다.

KT 메가패스의 경우 3만~4만원으로 일본과 비슷하다.

OECD가 발표한 국가별 월평균 초고속인터넷 요금(한국 42.35달러,일본 34.21달러)이 체감요금과 다른 것은 구매력지수(PPP)를 반영했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OECD는 국가별 구매력지수를 반영했지만 국제연합(UN)은 도시별 물가수준을 반영한다"면서 "OECD가 한국 초고속인터넷 가입자의 80% 이상이 약정할인을 받는다는 점을 간과한 것 같다"고 말했다.

이동통신 요금에 이어 초고속인터넷 요금도 내려야 한다는 여론도 만만치 않았다.

한 네티즌은 "일본에 비해 속도가 느리고 요금이 비싸다면 요금을 내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업계 관계자는 "일본의 경우 부분적인 종량제를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면서 "국내 초고속인터넷 요금도 3년 약정할인을 받으면 2만원대로 떨어진다"고 말했다.

최명수 기자 ma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