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교육청 김포외고 사태 최선책 마련 부심

경찰수사에만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으면서까지 대책발표를 연기한 경기도교육청이 김포외고 시험문제 유출사건에 대한 `민원 최소화' 방안 찾기에 골몰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J학원 출신 합격생 47명 불합격처리후 차점자 47명 추가 합격처리' 방안이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13일 도 교육청에 따르면 김진춘 교육감은 전날 오전 간부회의를 통해 "민원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찾으라"고 해당 부서에 지시했다.

도 교육청 내부에서는 김 교육감의 이 같은 지시가 어떤 방안을 내 놓아도 법적 소송 등 민원이 불가피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도 교육청에서는 다양한 방안을 계속 검토하고 있는 가운데 지금까지 ▲J학원 출신 합격자 47명 불합격처리-재시험 통해 47명 추가 선발 ▲J학원생 합격자 47명을 불합격처리한 뒤 재시험 없이 나머지 합격자 137명만을 입학시키는 방안 ▲2천444명의 김포외고 일반전형 시험 응시자만을 대상으로 한 재시험 등 3가지 방안이 집중적으로 논의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이 가운데 민원의 소지가 그나마 가장 적고 문제유출 사건의 당사자인 J학원에 대한 징계의 성격과 함께 불합격자들의 불만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다는 차원에서 `J학원생 47명 불합격처리-재시험 통해 47명 추가 선발' 방안이 가장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이 방안에 대한 막판 법률자문과 내부검토 과정에서 '동일 학교 동일 학년도 입학생을 두 가지 시험방법으로 뽑은 사례가 없다'는 지적이 나온데다 현실적으로 J학원 합격생가운데 누가 버스에 탔었고 누가 유출문제를 봤는 지를 명확히 가려내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점 때문에 도 교육청이 고민에 빠진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J학원 출신 합격생들을 불합격처리하고 일반전형 불합격자중 47명을 차점자 순으로 추가 선발하는 방안이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방안의 경우 재시험을 실시하지 않아 동일 연도 신입생을 두 가지 시험으로 뽑지 않아도 되고 J학원생 외 합격자를 보호하는 동시에 부당하게 탈락한 학생들을 구제한다는 의미도 있어 현실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또 도 교육청이 "김포외고 대책을 기준으로 다른 외고 시험결과도 처리할 것"이라고 밝힌 상황에서 김포외고외 도내 다른 외고에서 유사 사례가 드러날 경우에도 바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으로 분석되고 있다.

특히 도 교육청 주변에서는 전면이든 부분이든 재시험을 위해서는 오는 20일 일반계 고교 원서접수 마감까지 새로운 합격자를 결정해야 하는 상황에서 도 교육청이 시간이 촉박한데도 불구하고 12일 대책발표를 무기한 연기한 것은 이 같은 방안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이 방안 역시 J학원 출신 합격생 47명 가운데 버스에 타지 않은 학생, 버스에 탔으나 유인물을 보지 않은 학생 등을 가려내기 어려워 이들의 법적 소송 등 반발이 불가피하고 시험의 공정성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 나머지 불합격자들의 불만을 해소하는데도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도 교육청 관계자는 "차점자 합격처리 방안도 검토중인 것은 사실이며 현재 이 방안을 포함해 다양한 방안을 두고 검토에 검토를 거듭하고 있다"며 "대책방안에 `정답'은 없는 만큼 최대한 빠른 시간내에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해 노력중"이라고 말했다.

시험문제 유출이 확인된지 3일이 지나면서 해당 학생과 학부모들의 혼란이 계속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무기력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는 경기도 교육청이 언제 어떤 대책을 내 놓을 지 주목된다.

(수원연합뉴스) 김광호 기자 kwa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