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여록] 철도파업, 수능일은 피했지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하마터면 큰 일 날 뻔 했다. 하지만 교통대란은 피할 수 없다’
철도노조가 12일로 예정됐던 파업을 수능대란을 피해 16일로 늦춰 수험생들이 한시름 놓게됐지만 코레일(철도공사)과 일반 시민들은 파업으로 인한 교통대란이 불가피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코레일(철도공사)의 이철 사장이 지난 5일 정부대전청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어떠한 경우에도 노조의 부당한 요구에 무릎을 꿇는 일은 절대로 없을 것”이라고 밝혔지만 노조는 결국 파업이라는 강수를 선택했다.
이번에 노조가 파업을 결정한 핵심이슈는 KTX 전 여승무원들의 복직과 1인승무 제도 도입문제 등 크게 두가지다.
코레일측은 노조가 여승무원들의 경우 처음에는 정규직을 요구했으나 이제는 직접고용을 주장하고 있다고 밝히고 그러나 “철도공사에 시험을 쳐서 합격하거나 근무해 본 적이 없는 사람들을 어떻게 직접고용을 할 수 있느냐”며 “불법파업을 계속하면서 복직을 요구하고 있지만 절대로 용납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1인승무 문제도 마찬가지다.
이 사장은 몇 개월전 일본철도(JR)사장을 만났다고 했다.
1인승무 도입문제 때문에 곤혹을 치르고 있다고 했더니 일본은 50~60년대부터 1인승무를 시행하고 있다며 크게 놀랐다고 전했다.
얼마전 중국철도 고위간부를 만난 자리에서도 1인승무 얘기를 꺼냈더니 철도종사자만 210만명에 달하는 중국도 이미 오래전부터 1인승무를 하고 있다며 의아해 했다고 말했다.
1인승무를 일방적으로 시행하려고 한다는 노조의 주장도 사실과 다르다고 코레일측은 밝혔다.
과거에 이미 합의를 한 사항이지만 그 이후 수십차례 협의를 요구했으나 응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 사장은 과거 파업때는 파업자 조기복귀 또는 복귀자 보호 등을 위해 노력했으나 이번에는 과거와는 달리 파업참가냐 불참가냐에 따라 조치하겠다는 강경방침을 밝혔다.
앞으로는 설사 복귀하더라고 파업에 동참했던 사람들에게는 책임을 받드시 묻겠다는 초강경 대응을 천명했다.
철도노조가 수능대란을 피해 파업날짜를 결정했다고 하지만 사측이나 노조 모두 파업피해의 책임소재를 분명히 가려야 한다는 여론을 외면해서는 안될 것이다.
백창현 사회부 기자 chbaik@hankyung.com
철도노조가 12일로 예정됐던 파업을 수능대란을 피해 16일로 늦춰 수험생들이 한시름 놓게됐지만 코레일(철도공사)과 일반 시민들은 파업으로 인한 교통대란이 불가피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코레일(철도공사)의 이철 사장이 지난 5일 정부대전청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어떠한 경우에도 노조의 부당한 요구에 무릎을 꿇는 일은 절대로 없을 것”이라고 밝혔지만 노조는 결국 파업이라는 강수를 선택했다.
이번에 노조가 파업을 결정한 핵심이슈는 KTX 전 여승무원들의 복직과 1인승무 제도 도입문제 등 크게 두가지다.
코레일측은 노조가 여승무원들의 경우 처음에는 정규직을 요구했으나 이제는 직접고용을 주장하고 있다고 밝히고 그러나 “철도공사에 시험을 쳐서 합격하거나 근무해 본 적이 없는 사람들을 어떻게 직접고용을 할 수 있느냐”며 “불법파업을 계속하면서 복직을 요구하고 있지만 절대로 용납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1인승무 문제도 마찬가지다.
이 사장은 몇 개월전 일본철도(JR)사장을 만났다고 했다.
1인승무 도입문제 때문에 곤혹을 치르고 있다고 했더니 일본은 50~60년대부터 1인승무를 시행하고 있다며 크게 놀랐다고 전했다.
얼마전 중국철도 고위간부를 만난 자리에서도 1인승무 얘기를 꺼냈더니 철도종사자만 210만명에 달하는 중국도 이미 오래전부터 1인승무를 하고 있다며 의아해 했다고 말했다.
1인승무를 일방적으로 시행하려고 한다는 노조의 주장도 사실과 다르다고 코레일측은 밝혔다.
과거에 이미 합의를 한 사항이지만 그 이후 수십차례 협의를 요구했으나 응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 사장은 과거 파업때는 파업자 조기복귀 또는 복귀자 보호 등을 위해 노력했으나 이번에는 과거와는 달리 파업참가냐 불참가냐에 따라 조치하겠다는 강경방침을 밝혔다.
앞으로는 설사 복귀하더라고 파업에 동참했던 사람들에게는 책임을 받드시 묻겠다는 초강경 대응을 천명했다.
철도노조가 수능대란을 피해 파업날짜를 결정했다고 하지만 사측이나 노조 모두 파업피해의 책임소재를 분명히 가려야 한다는 여론을 외면해서는 안될 것이다.
백창현 사회부 기자 chbai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