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 진출해 있는 우리 기업 중 10%는 국내복귀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해양수산부는 대한무역진흥공사(KOTRA)와 공동으로 지난달 10일부터 지난 12일까지 중국 칭다오(靑島)와 옌타이(煙臺), 웨이하이(威海), 상하이(上海)에 진출해 있는 우리나라 제조업체 580여개사를 대상으로 국내 복귀 의향을 물은 결과 응답한 145개사 중 9.6%에 해당하는 14개사가 기업이전과 공장설립 의사를 표명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설문조사는 최근 중국이 자국내 외국기업들에게 소득세 감면혜택 폐지, 가공무역 금지품목 확대 등 기업규제정책을 강화하고, 내년 초 신노동법을 발효하려 하는 등 사업환경이 점점 고비용 구조로 전환되고 있어 싼 인건비를 보고 중국으로 진출한 우리 기업이 전략수정의 필요성에 직면함에 따라 이들 기업을 국내 항만특구로 유치하기 위해 진행됐다.

조사결과 이들 14개사는 저가 부지가 제공되는 등 입지비용이 경감돼 적합한 투자여건이 조성될 경우 국내로 복귀할 가능성이 있다고 답했고, 특히 이들 중 5개사는 적극적인 복귀의사를 표명했다고 해양부는 밝혔다.

14개사를 업종별로 보면 전기.전자업종 4개사, 기계제조업 2개사, 수송기기와 화학이 각각 1개사, 가구.제지.요업 등 기타 업종이 6개사 등이었다.

만약 복귀할 경우 환류 투자지역으로 7개사가 경기.인천 등 기타지역, 24개사가 부산신항 배후단지, 2개사는 광양항 배후단지, 1개사는 광양만 경제자유구역을 희망했다.

환류 투자시기는 2∼3년후인 2010∼2011년을 꼽은 경우가 9개사로 가장 많았고, 2009년이 2개사, 올해가 1개사로 뒤를 이었다.

이들 회사 중 6개사는 국내 복귀시 필요한 기능인력과 고용규모로 50∼100명을, 5개사는 50명 미만을 꼽았으나 100∼200명, 200∼500명, 500∼1천명도 각각 1개사씩이었다.

이들 회사는 중국진출 기업의 국내 환류투자 장애요인으로 높은 인건비와 공장부지 비용, 협소한 시장, 잦은 노사분규, 인력확보 문제, 중간재 조달문제, 투자 인센티브 미흡 등을 꼽았다.

이들은 우리나라로의 환류투자 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각종세금 감면과 저렴한 부지제공, 외국인노동자 공급을 지목했다.

해양부는 다음달부터 적극적으로 국내복귀 의사를 표명한 기업의 한국과 중국 본사를 방문해 요구사항을 파악한 뒤 관계부처와 협의해 항만 배후단지나 산업단지, 임대 전용 산업단지, 경제자유구역 중 맞춤형 부지를 선정해준다는 계획이다.

이은 해양부 차관은 "부지가 저렴하게 공급되고 외국인고용 확대가 허용되는 등 비용절감과 원활한 인력공급의 여건이 조성된다면 더 많은 기업들이 한국 복귀를 희망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관계부처와 협의해 우리 기업의 한국복귀 기반을 지속적으로 확충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이 율 기자 yulsid@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