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정희수 의원 서울시 국감 자료서 지적

서울시내 지하철 역사 264곳 가운데 46곳이 화재 발생시 대형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한나라당 정희수(경북 영천) 의원은 29일 서울시에 대한 국회 건설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 앞서 배포한 보도자료에서 "서울지하철 역사 46곳에서 화재 발생 때 지상 안전구역까지 대피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건설교통부 기준을 초과했다"고 밝혔다.

건교부의 현행 '도시철도 정거장 및 환승.편의시설 보완 설계지침'상의 '피난 기준'은 화재발생 4분 이내에 발화지점(승강장) 근처를 벗어나고 총 6분 이내에 연기 또는 유독가스로부터 안전한 외부 출입구를 벗어나야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정 의원은 특히 "지하철 7호선은 전체 역사 42곳 가운데 절반인 21곳의 피난시간이 건교부 기준을 초과했다"면서 "서울메트로와 서울도시철도공사 등 서울지하철 운영 공기업의 화재사고 방지대책은 이러한 상황을 견뎌내기에는 부족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정 의원은 또 서울지하철 역사 10곳 가운데 7곳 꼴로 성별로 구분된 장애인 화장실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주장했다.

그는 "1호선과 3호선의 역사에는 성별 구분이 있는 장애인 화장실이 단 한 곳도 없었다"면서 "이는 장애인 복지가 아닌 인권 차원에서 시급히 보완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국감에 앞서 참주인연합 김선미(경기 안성) 의원도 서울시로부터 제출 받은 국감자료를 자체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건교부 피난기준을 초과한 역 가운데 피난시간이 가장 긴 곳은 7.76분을 기록한 2호선 을지로3가역"이라면서 "대합실까지 피난시간이 가장 긴 역은 7호선 남구로역"이라고 말했다.

김 의원은 "앞으로 서울에 새로운 지하철 역사를 지을 때에는 긴급 피난시간을 최대한 줄이고 장애인의 이동시간도 설계에 반영해야 할 것"이라면서 "건교부 기준을 초과한 역사에 대해서는 긴급 보완공사를 시행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서울연합뉴스) 고준구 기자 rjko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