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칼럼] 선조들은 愼獨하라 가르쳤는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金炳椽 < 서울대 교수 · 경제학 >
1990~1997년 영국의 총리였던 존 메이저는 깨끗하고 청렴한 이미지,젠틀맨 같은 인상 덕분에 총리가 된 사람이다.
그의 말은 절제돼 있었고 거들먹거리지 않는 그의 행동은 특히 서민들에게 좋은 인상을 심어주었다.
런던에서 나무 상자 위에 올라가 연설하던 그의 모습을 보고 사람들은 그의 겸손함에 존경을 표하기도 했다.
존 메이저는 큰 업적을 낸 총리는 아니었던 것 같다.
그의 임기동안 영국경제는 유럽에 비해 침체돼 있었다.
1992년 영국이 파운드화에 대한 투기 공격을 견디다 못해 유럽환율 메커니즘을 탈퇴할 때 많은 영국인들은 자존심에 큰 타격을 받았다.
그리고 각료들의 스캔들과 갈등은 그의 직무수행을 더 어렵게 만들었다.
또 보수당 내에 막강한 힘을 행사하고 있었던 전(前) 총리 마거릿 대처는 그녀와는 달리 유럽연합에 우호적인 존 메이저를 마냥 흔들어댔다.
존 메이저가 끝까지 지킨 것이 있다면 말을 아낀 것이다.
정확히 말해 공개적인 자리에서 개인을 극렬한 용어를 써서 비판한 적은 없었다.
암암리에 그에게 도전하기도 했던 각료와 의원들에게 한 말은 기껏해야 "공개적으로 총리직에 도전하든지 아니면 입을 다물어라" 정도였다.
영국의 절제된 언어문화 덕분에 메이저 자신도 덕을 봤다.
메이저 정권의 모토는 '기본으로 돌아가자(back to basics)'는 것으로,정직을 강조하고 가족을 중히 여기는 이미지가 정권 창출과 유지에 큰 기여를 했다.
그러나 메이저 자신은 총리가 되기 전 4년 동안 동료 보수당 의원과 부적절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그가 총리에서 물러난 후 밝혀진 이 스캔들에 대해 영국의 유명한 상원의원의 부인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그의 여성관에 일시적 착오가 있었다는 사실이 놀라울 따름이다.
"이와 같이 비난에도 품격이 있다.
우리 사회는 어떤가? 말의 폭력이 난무할 때가 많다.
일부러 자극적인 말을 골라 쓰는 사람들도 있다.
이러한 사람들은 그래야 직성이 풀리고 통쾌함을 느끼는 모양이다.
그러나 말의 품격은 그 나라의 문화수준에 영향을 미친다.
막된 말과 함부로 비난하는 말들이 난무하는 사회에서 좋은 생각,타인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마음이 생겨나기 어렵다.
오히려 말을 통해 상처를 주고 갈등을 증폭시키기도 한다.
우리는 혹독한 독재를 극복하는 민주화 과정을 거쳤다.
그 결과 우리가 쟁취한 것도 많지만 잃어버린 것도 없지는 않다.
당시의 폭력적인 권위 정부에 대항하기 위해 쓴 말들에는 폭력적인 단어가 많았다.
'타도하고 죽이고 깨부수고' 등의 용어가 너무 흔하게 사용됐고 전파됐다.
이러한 극단적이고 극렬한 용어들은 지금도 집단 사이의 갈등 등 여러 상황에서 분별없이 사용되고 있다.
그 결과 우리의 아이들도 이러한 폭력적인 언어에 오염된 채 자라게 된다.
이러한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우리의 문화를 파괴하고 아이들의 심성을 황폐화시키는 문화범죄자인 셈이다.
어느 누구보다 지도자는 말을 함부로 해서는 안된다.
많은 사람들이 보고 배우며 큰 반향을 불러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의 선조들은 혼자 있을 때 스스로에게 하는 말도 삼가라며 신독(愼獨)을 강조했다.
설혹 그런 경지에 이르지는 못해 부부간에나 막역한 사이에서 자기들끼리 남을 비판하는 말을 하는 것에는 어찌하랴.그러나 공개적으로,다른 사람들이 듣는 자리에서 자극적이고 극렬한 말을 사용하는 사람은 지도자로서 적합하지 않다.
현대 경제는 문화자산이 성장의 중요한 요인이며 말의 품격은 바로 문화 수준을 결정짓기 때문이다.
사용하는 언어에 품격을 갖추지 못한 지도자,말에 절제가 없는 지도자는 우리나라의 문화 수준을 낮출 뿐만 아니라 경제성장도 방해하는 사람이다.
어릴 때 먹고 살기가 어려웠고 충분히 배우지 못했다는 것이 이유가 되지 못한다.
존 메이저도 힘든 소년기를 보냈고 그도 16세에 학교를 떠난 사람이지 않은가? 이왕지사야 할 수 없지만 앞으로 뽑을 사람은 그 입에서 나오는 말을 주목해야 할 것이다.
1990~1997년 영국의 총리였던 존 메이저는 깨끗하고 청렴한 이미지,젠틀맨 같은 인상 덕분에 총리가 된 사람이다.
그의 말은 절제돼 있었고 거들먹거리지 않는 그의 행동은 특히 서민들에게 좋은 인상을 심어주었다.
런던에서 나무 상자 위에 올라가 연설하던 그의 모습을 보고 사람들은 그의 겸손함에 존경을 표하기도 했다.
존 메이저는 큰 업적을 낸 총리는 아니었던 것 같다.
그의 임기동안 영국경제는 유럽에 비해 침체돼 있었다.
1992년 영국이 파운드화에 대한 투기 공격을 견디다 못해 유럽환율 메커니즘을 탈퇴할 때 많은 영국인들은 자존심에 큰 타격을 받았다.
그리고 각료들의 스캔들과 갈등은 그의 직무수행을 더 어렵게 만들었다.
또 보수당 내에 막강한 힘을 행사하고 있었던 전(前) 총리 마거릿 대처는 그녀와는 달리 유럽연합에 우호적인 존 메이저를 마냥 흔들어댔다.
존 메이저가 끝까지 지킨 것이 있다면 말을 아낀 것이다.
정확히 말해 공개적인 자리에서 개인을 극렬한 용어를 써서 비판한 적은 없었다.
암암리에 그에게 도전하기도 했던 각료와 의원들에게 한 말은 기껏해야 "공개적으로 총리직에 도전하든지 아니면 입을 다물어라" 정도였다.
영국의 절제된 언어문화 덕분에 메이저 자신도 덕을 봤다.
메이저 정권의 모토는 '기본으로 돌아가자(back to basics)'는 것으로,정직을 강조하고 가족을 중히 여기는 이미지가 정권 창출과 유지에 큰 기여를 했다.
그러나 메이저 자신은 총리가 되기 전 4년 동안 동료 보수당 의원과 부적절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그가 총리에서 물러난 후 밝혀진 이 스캔들에 대해 영국의 유명한 상원의원의 부인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그의 여성관에 일시적 착오가 있었다는 사실이 놀라울 따름이다.
"이와 같이 비난에도 품격이 있다.
우리 사회는 어떤가? 말의 폭력이 난무할 때가 많다.
일부러 자극적인 말을 골라 쓰는 사람들도 있다.
이러한 사람들은 그래야 직성이 풀리고 통쾌함을 느끼는 모양이다.
그러나 말의 품격은 그 나라의 문화수준에 영향을 미친다.
막된 말과 함부로 비난하는 말들이 난무하는 사회에서 좋은 생각,타인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마음이 생겨나기 어렵다.
오히려 말을 통해 상처를 주고 갈등을 증폭시키기도 한다.
우리는 혹독한 독재를 극복하는 민주화 과정을 거쳤다.
그 결과 우리가 쟁취한 것도 많지만 잃어버린 것도 없지는 않다.
당시의 폭력적인 권위 정부에 대항하기 위해 쓴 말들에는 폭력적인 단어가 많았다.
'타도하고 죽이고 깨부수고' 등의 용어가 너무 흔하게 사용됐고 전파됐다.
이러한 극단적이고 극렬한 용어들은 지금도 집단 사이의 갈등 등 여러 상황에서 분별없이 사용되고 있다.
그 결과 우리의 아이들도 이러한 폭력적인 언어에 오염된 채 자라게 된다.
이러한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우리의 문화를 파괴하고 아이들의 심성을 황폐화시키는 문화범죄자인 셈이다.
어느 누구보다 지도자는 말을 함부로 해서는 안된다.
많은 사람들이 보고 배우며 큰 반향을 불러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의 선조들은 혼자 있을 때 스스로에게 하는 말도 삼가라며 신독(愼獨)을 강조했다.
설혹 그런 경지에 이르지는 못해 부부간에나 막역한 사이에서 자기들끼리 남을 비판하는 말을 하는 것에는 어찌하랴.그러나 공개적으로,다른 사람들이 듣는 자리에서 자극적이고 극렬한 말을 사용하는 사람은 지도자로서 적합하지 않다.
현대 경제는 문화자산이 성장의 중요한 요인이며 말의 품격은 바로 문화 수준을 결정짓기 때문이다.
사용하는 언어에 품격을 갖추지 못한 지도자,말에 절제가 없는 지도자는 우리나라의 문화 수준을 낮출 뿐만 아니라 경제성장도 방해하는 사람이다.
어릴 때 먹고 살기가 어려웠고 충분히 배우지 못했다는 것이 이유가 되지 못한다.
존 메이저도 힘든 소년기를 보냈고 그도 16세에 학교를 떠난 사람이지 않은가? 이왕지사야 할 수 없지만 앞으로 뽑을 사람은 그 입에서 나오는 말을 주목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