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우물'은 보조개를 뜻하며, '미쁘다'는 진실함을 ' 씨밀레'는 영원한 친구의 순 우리말이다.

한글날을 하루 앞두고 '한글날' '우리말겨루기' '한글날 글짓기' 등 한글 관련 검색어들이 인기를 모으고 있다.

'한글날'은 세종대왕의 한글 반포를 기념하고 한글의 연구·보급을 장려하기 위하여 정한 날로 매년 10월9일이다.

1926년 11월4일(음력 9월29일) 당시 민족주의 국어학자들의 단체인 조선어연구회가 주동이 되어 세종대왕의 훈민정음 반포 480주년을 맞이하여 기념식을 가지고, 이날을 제1회 '가갸날'로 정하였다고 전해진다.

이듬해인 1927년 조선어연구회 기관지 '한글'이 창간되고부터 이날을 '한글날'로 고치고 계속 음력으로 기념하다가, 1932년 양력 날짜로 환산, 10월 29일에 기념 행사를 가졌다.

다시 1934년 정확한 양력 환산법을 적용하여 10월 28일로 정정하였고, 1940년 7월 훈민정음 해례본()이 발견되어 정인지() 서문에 반포일이 9월 '상한()'으로 나타났으므로, 상순의 끝날인 9월 10일을 양력으로 환산하여 10월 9일을 한글날로 확정하였다.

매년 한글날이 되면 이를 기념하기 위해 '한글날 글짓기'를 비롯해 다채로운 행사가 마련된다.

올해도 전국에서 한글날을 기념하는 각종 행사가 줄을 잇고 있는데, 우선 8일에는 서울 신촌동 연세대학교에서는 연세대 한국어학당이 주최하는 외국인 한글 백일장 대회가 열렸다.

10월9일 한글날에는 한글문화연대가 오후 2시부터 서울 인사동 쌈지길 앞마당에서 한글무늬가 새겨진 옷을 무료로 나눠주는 '한글, 날아오르다' 행사를 가진다.

또한, 한글학회는 LG텔레콤, 청강문화산업대학과 함께 한글날인 9일 서울 종로구 한글학회 교육관에서 '제3회 휴대전화 쪽글자랑 한마당' 시상식을 연다.

< 네이버 백과사전 참조 >

한경닷컴 뉴스팀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