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랜드사태 100일] 파업 노조원들 "추석은 쇠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랜드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사측은 물론 근로자들 사이에서도 '민주노총의 월권적 개입'에 대한 비난이 확산되고 있다.
파업에 참가했다가 최근 복귀한 뉴코아 F매장의 G씨(정규직)는 "애초 우리의 요구는 현금PDA 도입 및 전환 배치 중단이었고 비정규직 문제는 고용 안정을 해달라는 정도였다"며 "민주노총 등 외부세력이 들어와 폭력사태가 빚어지면서 실망한 조합원들이 추석을 앞두고 회사에 속속 복귀하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 사측 집계에 따르면 16일 현재 뉴코아 143명,홈에버 420명(6월 파업 시작시 참가 인원은 뉴코아와 홈에버 각각 620명,950명가량)이 현업에 복귀한 상태다.
홈에버 비정규직 직원 A씨는 "한국까르푸가 이랜드에 인수되면서 고용 보장을 요구하기 위해 노조 덩치를 키우는 과정에서 근무 경력이 얼마 안된 파트타임 직원까지 노조에 가입시켰다"며 "정규직 전환 조건을 3개월로 내세우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인데 우리가 생각해도 회사가 받아들이기 어려운 조건"이라고 말했다.
그는 "민주노총 등 외부세력이 주도하는 시위로 회사 이미지가 안 좋아진 게 가장 걱정"이라며 "상암점 시위 때만 해도 동원된 듯한 노인들이 와서 술을 마시는 등 좋지 못한 모습이 많았다"고 털어놨다.
회사의 피해 규모도 눈덩이처럼 불고 있다.
이랜드그룹 관계자는 "뉴코아 강남점,홈에버 월드컵몰점 점거로 인한 300억원에다 잦은 매장 타격으로 인한 매출 감소분까지 합하면 피해액이 1000억원에 육박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랜드 사태' 비정규직 보호법에 대한 대응책을 고심하고 있는 중소업체들에도 부담을 줄 전망이다.
회사 측이 비정규직 근로자의 외주화 철회 등 노조에 제시한 안대로만 통과된다고 하더라도 다른 업체들의 선택 폭에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는 것.
한 중소기업 관계자는 "용역직으로 전환하면 이랜드처럼 파업이 일 게 뻔한데 어떤 기업이 실행에 옮기겠느냐"며 "차라리 정부가 외주화를 금지한다고 못 박았으면 혼란은 없었을 것"이라고 푸념했다.
그는 "그렇다고 신세계처럼 100% 고용보장을 할 수도 없어 난감한 상황"이라며 "고용 유연성이 크게 저하되는 것은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박동휘 기자 donghuip@hankyung.com
파업에 참가했다가 최근 복귀한 뉴코아 F매장의 G씨(정규직)는 "애초 우리의 요구는 현금PDA 도입 및 전환 배치 중단이었고 비정규직 문제는 고용 안정을 해달라는 정도였다"며 "민주노총 등 외부세력이 들어와 폭력사태가 빚어지면서 실망한 조합원들이 추석을 앞두고 회사에 속속 복귀하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 사측 집계에 따르면 16일 현재 뉴코아 143명,홈에버 420명(6월 파업 시작시 참가 인원은 뉴코아와 홈에버 각각 620명,950명가량)이 현업에 복귀한 상태다.
홈에버 비정규직 직원 A씨는 "한국까르푸가 이랜드에 인수되면서 고용 보장을 요구하기 위해 노조 덩치를 키우는 과정에서 근무 경력이 얼마 안된 파트타임 직원까지 노조에 가입시켰다"며 "정규직 전환 조건을 3개월로 내세우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인데 우리가 생각해도 회사가 받아들이기 어려운 조건"이라고 말했다.
그는 "민주노총 등 외부세력이 주도하는 시위로 회사 이미지가 안 좋아진 게 가장 걱정"이라며 "상암점 시위 때만 해도 동원된 듯한 노인들이 와서 술을 마시는 등 좋지 못한 모습이 많았다"고 털어놨다.
회사의 피해 규모도 눈덩이처럼 불고 있다.
이랜드그룹 관계자는 "뉴코아 강남점,홈에버 월드컵몰점 점거로 인한 300억원에다 잦은 매장 타격으로 인한 매출 감소분까지 합하면 피해액이 1000억원에 육박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랜드 사태' 비정규직 보호법에 대한 대응책을 고심하고 있는 중소업체들에도 부담을 줄 전망이다.
회사 측이 비정규직 근로자의 외주화 철회 등 노조에 제시한 안대로만 통과된다고 하더라도 다른 업체들의 선택 폭에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는 것.
한 중소기업 관계자는 "용역직으로 전환하면 이랜드처럼 파업이 일 게 뻔한데 어떤 기업이 실행에 옮기겠느냐"며 "차라리 정부가 외주화를 금지한다고 못 박았으면 혼란은 없었을 것"이라고 푸념했다.
그는 "그렇다고 신세계처럼 100% 고용보장을 할 수도 없어 난감한 상황"이라며 "고용 유연성이 크게 저하되는 것은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박동휘 기자 donghui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