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자원부가 중소기업의 기술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외 인력을 적극 유치하는 쪽으로 정책방향을 잡았다.

산자부는 3일 제11차 산업발전심의회에 제출한 '자유무역협정(FTA) 시대 산업정책 방향'에서 인력 양성 정책을 과거 고용을 늘리는 데서 산업 수요에 맞춰 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바꾸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산자부는 우선 내년에 해외기술인력 지원센터를 설치해 해외 인력선발,교육,취업 지원 등의 원스톱 취업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학술진흥재단 대학 연구소 등이 보유하고 있는 국외 인적자원 통합 데이터베이스도 구축한다.

또 중소기업이 일본 단카이 세대 등 퇴직한 해외 우수 기술인력을 활용할 경우 인건비를 보조하는 방안을 강구하고,러시아 등 해외 석·박사급 기술인력을 연간 20명씩 발굴해 알선하는 방안도 추진키로 했다.

올해 인도 베트남 등에서 처음 개최한 '민·관 해외 취업박람회'도 계속 열 예정이다.

해외 우수인력이 영주권을 부여받기 위한 조건(체류기간 3~5년,소득 1인당 GNI의 4배)을 완화하는 방안도 법무부와 협의하기로 했다.

산자부는 이와 함께 중소기업이 국내 석·박사를 고용할 때 지원하는 예산을 올해 60억원에서 2010년 100억원으로 늘릴 계획이다.

지원기간은 2~3년으로 확대한다.

또 내년부터 대학과 출연연구소를 활용해 박사급 연구원을 중소기업에 상주 파견하는 제도도 시범운영한다.

정재형 기자 jj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