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정책을 보면 친노(親盧)와 비노(非盧)가 보인다.'

대통합민주신당 예비경선이 본격화하면서 각 대선주자들의 정책도 뚜렷해지고 있다.

특히 경제정책을 중심으로 친노주자와 비노주자들 간의 차이가 두드러진다.

비노주자들이 참여정부 경제정책의 문제점을 부각시키며 크게 고치려는 데 반해 친노주자들은 참여정부의 연장선 위에서 잘못된 점만 수정하겠다는 입장이다.

비노주자인 손학규 후보가 한나라당 출신이고 정동영 후보의 경우 중도실용 성향이 강한 데 반해,친노주자인 이해찬 한명숙 유시민 후보는 참여정부에서 총리와 장관을 지내며 핵심정책을 주도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 후보와 한 후보는 "참여정부 실패론을 인정할 수 없다"고 밝힌 바 있다.

우선 경제정책의 이념 바탕인 '성장·분배논란'에서부터 양측의 태도는 엇갈린다.

"신 성장동력 확충을 통해 중산층의 복지를 실현할 것"(손 후보),"성장 없이는 분배도 없다"(정 후보) 등 비노주자들은 사실상 선(先) 성장을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한 후보가 성장우선론에 반대입장을 밝히는 등 친노주자들은 분배와 균형을 맞출 것을 주장하며 참여정부의 기조를 대체로 유지하는 분위기다.

감세(減稅)에 있어서도 소득세,법인세 등에 선별적인 감세가 필요하다는 손 후보와 유류세 20% 인하 등의 안을 내놓은 정 후보 등이 전향적인 입장인 데 반해 친노주자들은 반대하는 분위기가 뚜렷하다.

저출산 고령화 문제의 해결방법에 대해서도 친노주자들은 큰 틀에서 정부가 지난해 발표한 '비전 2030'과 다르지 않다.

한 친노진영 측은 "'비전 2030'을 충실히 이행하는 것이 문제를 근본에서 풀 수 있는 처방책"이라고 말했다.

반면 비노주자들은 사회적 지원에 더해 고령자 취업률을 향상시킬 방안이 필요하다는 생각이다.

노경목 기자 autonom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