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달부터 차세대 인터넷주소 IPv6가 보급된다.

사용자제작콘텐츠(UCC),3세대 이동통신,인터넷전화 등에 우선 부분적으로 적용된다.

IPv6를 도입하는 것은 주소자원 고갈 위기에 직면한 현행 IPv4와 달리 인터넷주소를 무한대로 늘릴 수 있기 때문이다.

정보통신부는 9월부터 경찰청,지방자치단체,통신사업자 등과 함께 IPv6 기반의 서비스를 일반인에게 제공한다고 29일 밝혔다.

정통부는 우선 시범 서비스를 통해 IPv6 사용자를 20만명으로 늘린 뒤 연말께 상용 서비스로 전환할 방침이다.

'코리아v6'로 이름 붙여진 이번 IPv6 시범 서비스는 △UCC △치안 서비스 △인터넷전화 △재난 감시 △IPv6 통신망 구축 등 6개 부분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정부예산 16억원과 민간투자 22억5000만원 등 총 38억5000만원이 투입된다.

UCC의 경우 인터넷 포털 프리챌과 아이비트가 IPv6 기반의 네트워크 카메라를 관광지나 공원에 설치,일반인이 이를 활용해 UCC를 제작할 수 있게 한다.

SK네트웍스 삼성전자 경찰청은 IPv6 기반의 인터넷전화를 경찰청 신고 시스템에 연결한다.

LG데이콤은 대구시청에 IPv6 인터넷전화를 설치하고,KT와 A&D엔지니어링은 강릉시청과 함께 IPv6 기반의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한다.

KT는 또 에듀테크와 공동으로 공주시청에 IPv6 네트워크 및 관광안내 시스템을 구축한다.

'xxx.xxx.xxx.xx' 형태인 현행 IPv4 체계는 32비트 기반으로 인터넷 주소를 늘리는 데 한계가 있다.

이보다 업그레이드된 IPv6 체계는 128비트로 주소를 만들기 때문에 조합상 '2의 128승'개,사실상 무한대의 인터넷 주소가 생성된다.

언제 어디서나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시대에는 각종 디지털 기기와 사물에 인터넷 주소가 부여된다.

정통부는 인터넷주소 고갈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2013년까지 인터넷 주소체계를 IPv4에서 IPv6로 완전히 전환할 방침이다.

최명수 기자 ma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