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 설문 문항이 오는 19일 예정된 한나라당 대선 경선의 '뇌관'이 되고 있다.

당 선관위 산하 전문가위원회가 '선호도' 방식을 잠정 채택한 데 대해 박근혜 후보 측이 '경선 불참' 가능성까지 언급하면서 강력 반발,경선이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

선관위는 3일 전체회의를 열었지만,박 후보 측의 반발로 인해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6일 다시 회의를 열어 최종 결정키로 했다.

논란의 핵심은 질문 방식을 '지지도'로 하느냐,'선호도'로 하느냐이다.

박 후보 측은 '후보 중 누구를 지지하십니까'라는 지지도 문항을,이명박 후보는 '누가 대통령 후보로 더 낫다고 생각하십니까'라는 선호도 문항을 주장해왔다.

어떤 질문 방식을 택하느냐에 따라 그 결과가 달라지면서 경선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박 후보 측은 민감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이번 경선에서는 당원·대의원·일반국민 선거인단의 투표 80%(18만4709명)와 여론조사 결과 20%를 반영한다.

선호도는 지지층의 충성도가 낮은 후보에게,지지도 조사는 충성도가 높은 후보에게 각각 유리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최근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후보 선호도로 질문한 경우 이 후보가 박 후보에 비해 지지율 10%포인트 안팎으로 앞서는 반면,지지도로 물을 경우 그 차이가 5%포인트 안팎으로 좁혀진다.

박 후보 측 김재원 대변인은 "지지도냐,선호도냐에 따라 5000표가 왔다갔다 할 수 있는 만큼,이 후보 측 주장대로 간다면 경선에 참여하는 게 맞는지 고려할 문제"라고 거듭 경고했다.

이에 대해 이 후보 측 장광근 대변인은 "전문가위원회는 특정캠프에 치우치지 않은 인사들로 구성됐다"며 "이런 위원회의 결정에 대해 '경선 거부'운운하는 것은 세불리를 의식한 의도적인 행동"이라고 반박했다.

홍영식/김인식 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