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7일자) 토지보상 대토ㆍ채권 비중 더 높여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부는 어제 경제정책조정회의를 열어 부동산시장 안정을 위한 토지보상제도 개선방안을 확정했다.
부재지주 범위를 '지구지정 1년 전부터 현지에 거주하지 않은 경우'로 확대해 대토(代土)·채권보상 비율을 높이고,개발계획 발표 이후 땅값 상승분은 보상에서 배제하는 것 등이 골자다.
현금보상을 억제해 토지보상금으로 풀리는 천문학적 규모의 돈이 다시 부동산시장으로 되돌아와 땅값과 집값을 올리는 악순환을 차단하겠다는 뜻이다.
물론 이들 방안이 개인의 재산권을 침해하고 보상금 산정 때 개발이익이 배제된다는 점에서 토지소유자들의 반발이 예상되는 등 부작용이 우려되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그동안 대부분 현금으로 지급된 한 해 20조원 이상의 엄청난 토지보상비가 투기자금화되면서 부동산시장 불안을 키워 경제를 왜곡시키고 사회 전체에 심각한 해악을 가져왔다는 점을 생각하면 강력한 대책이 필요한 측면이 더 크다고 본다.
문제는 얼마나 실효성을 거둘 수 있느냐 하는 점이다.
정부는 이번 대책으로 현금보상 규모가 약 20% 정도 줄어들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그 정도로 투기억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지는 지극히 의문이다.
부재지주에 대해서만 대토 및 채권보상이 의무화됨으로써 현금보상 비율을 줄이는 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현금보상을 최소화하고 채권보상 범위를 더 늘릴 수 있는 방안을 보다 다각적으로 강구하지 않으면 안된다.
현금보상보다 채권이나 대토 보상을 선호할 수 있는 유인책 마련과 함께 보상채권 만기의 장기화,일시에 많은 보상금이 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대책이 시급하다.
아직 국회에 계류되어 있는 대토보상제 도입을 위한 입법도 하루빨리 이뤄져야 한다.
부재지주 범위를 '지구지정 1년 전부터 현지에 거주하지 않은 경우'로 확대해 대토(代土)·채권보상 비율을 높이고,개발계획 발표 이후 땅값 상승분은 보상에서 배제하는 것 등이 골자다.
현금보상을 억제해 토지보상금으로 풀리는 천문학적 규모의 돈이 다시 부동산시장으로 되돌아와 땅값과 집값을 올리는 악순환을 차단하겠다는 뜻이다.
물론 이들 방안이 개인의 재산권을 침해하고 보상금 산정 때 개발이익이 배제된다는 점에서 토지소유자들의 반발이 예상되는 등 부작용이 우려되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그동안 대부분 현금으로 지급된 한 해 20조원 이상의 엄청난 토지보상비가 투기자금화되면서 부동산시장 불안을 키워 경제를 왜곡시키고 사회 전체에 심각한 해악을 가져왔다는 점을 생각하면 강력한 대책이 필요한 측면이 더 크다고 본다.
문제는 얼마나 실효성을 거둘 수 있느냐 하는 점이다.
정부는 이번 대책으로 현금보상 규모가 약 20% 정도 줄어들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그 정도로 투기억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지는 지극히 의문이다.
부재지주에 대해서만 대토 및 채권보상이 의무화됨으로써 현금보상 비율을 줄이는 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현금보상을 최소화하고 채권보상 범위를 더 늘릴 수 있는 방안을 보다 다각적으로 강구하지 않으면 안된다.
현금보상보다 채권이나 대토 보상을 선호할 수 있는 유인책 마련과 함께 보상채권 만기의 장기화,일시에 많은 보상금이 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대책이 시급하다.
아직 국회에 계류되어 있는 대토보상제 도입을 위한 입법도 하루빨리 이뤄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