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대선 후보 경선관리위원회와 검증위원회가 25일 첫 회의를 갖고 본격 활동에 들어갔다.

경선관리위는 첫 회의에서 후보 등록을 우선 안건으로 논의,조기에 실시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강재섭 대표도 이날 경선관리위원 위촉식에서 후보 조기 등록 필요성을 강조했다.


◆"등록부터 받자"=한나라당이 후보 등록을 서두르는 이유는 양대 대선 주자인 이명박 전 서울시장과 박근혜 전 대표의 이탈을 막자는 차원이다.

양 주자가 경선 규칙과 검증 문제 등을 놓고 충돌할 가능성이 많은 상황에서 조속히 '안전 장치'를 마련해 놓지 않으면 자칫'갈라서기'를 할 수 있다는 우려가 깔려 있다.

그 안전 장치가 바로 '조기 등록'이다.

선거법 57조 2의2항에 따르면 특정정당의 경선 후보로 등록을 하게 되면,패배하거나 도중 포기한 사람은 탈당해 독자 출마를 할 수 없다.

이 전 시장과 박 전 대표로부터 경선 후보 등록을 받으면 두 후보가 현안을 놓고 치열하게 다투더라도 현실적으로 분당의 가능성은 없어지게 되는 것이다.

강 대표는 "후보등록을 빨리 해야 한다"면서 "내주 월요일(28일)쯤 받으면 제일 좋지만 그게 안되면 늦어도 내주 말까지는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경선관리위 최구식 대변인은 "오는 28일 2차 회의에서 후보등록 시점을 결정하게 될 것"이라며 "결정과 함께 곧바로 등록을 받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다만 공고 등을 감안하면 내달 초가 돼야 등록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문제는 경선 기탁금 규모다.

당 관계자는 후보당 3억원가량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지만,홍준표.원희룡.고진화 의원등 다른 후보들이 "2억원을 넘어선 안 된다"고 반대,조율 과정에서 어려움이 예상된다.


◆"철저 검증"외치지만…=검증위가 본격 활동에 들어가는 것에 발맞춰 양대 대선주자는 모두 "철저한 검증"을 주문했다.

박 전 대표는 불교방송과 인터뷰에서 "선거는 검증 과정이다.

없는 것을 조사하자는 것이 아니라 그 사람이 했던 말이나 위법 사실 등 실체가 있는 일에 대해서 검증하자는 것"이라며 "흠결없는 후보를 내세워야 국민이 믿고 (나라를) 맡길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지지율 역전에 자신 있나'라는 질문에 "확실히 믿을 수 있는 사람,국가관이 분명한 사람,도덕적 흠결이 없는 사람만이 본선에서 승리할 수 있다는 것을 당원과 국민이 시간이 지날수록 평가할 것"이라며 "자신 있다"고 답했다.

이 전 시장은 이날 천주교 대구 대교구청 주교관을 방문한 자리에서 기자들과 만나 "(검증문제는) 당에서 잘 알아서 할 것"이라며 "검증은 철저히 할수록 좋다는 것이 내 생각"이라고 말했다.

그는 박 전 대표가 지지율 역전을 자신했다는 데 대해 "그런 의욕이 있어야 선거가 된다"며 여유를 보이기도 했다.

또 '747(7% 성장,국민소득 4만달러,세계 7대 강국)'구상을 소개하며 "지도자 이름값만으로도 (성장률)1%는 그냥 오른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검증 범위와 관련,이 전 시장 측은 '정책 위주'로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는 반면 박 전 대표 측은 사생활을 비롯한 모든 분야를 포괄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어 검증위 활동에 난항이 예상된다.

홍영식/김인식 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