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교육청 K-척도 조사 결과

고등학생보다 초등학생들의 인터넷 중독 증세가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지난 4월 경기도내 초등학교 5학년∼고등학교 3학년 학생 119만 566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중독 자기 진단 평가(K-척도)'를 실시한 결과 중독 `고위험자'에 속하는 학생이 1만6천443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고등학생(37만3천936명)은 0.95%인 3천743명인 반면 초등학생은 그 2배에 달하는 2.03%(6천513명)로 조사됐다.

또 인터넷 중독으로 발전할 가능성을 가진 `잠재적 위험자'도 4만9천522명이나 됐다.

K-척도는 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문화진흥원 등이 공동으로 개발한 인터넷중독 자가진단 프로그램으로 ▲일상생활 장애 ▲현실구분 장애 ▲긍정적 기대 ▲금단 ▲내성 ▲가상적 대인관계 지향성 ▲일탈행동 등 7가지 요소에 대한 질문 40문항으로 구성돼 있다.

도교육청은 고위험자군에 속하는 학생들 중 원하는 학생에 한해 한국정보문화진흥원에 자료를 보내 보다 정확한 분석과 진단을 요청하고 인터넷 중독 예방운동(I-CAN-Internet Cyber Addiction No)을 적극적으로 펼친다는 계획이다.

도교육청 김동민 장학사는 "인터넷 중독 예방 교육을 위해 그 심각성이 어떤 수준인 지 알아보기 위해 조사를 실시했다"며 "중독예방을 위한 교사들의 직무연수와 청소년 상담센터를 연계하는 등 후속 조치를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수원연합뉴스) 한미희 기자 eoyyi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