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이슈 분석] '주식회사 싱가포르' 세계를 집어삼킨다 ... 싱가포르 국영투자회사 '테마섹'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영투자회사 '테마섹' 운용자산 850억弗
싱가포르 국영투자회사 테마섹(Temasek)이 외환 연기금 오일머니 등 정부 여유 자산을 적극적으로 운용하는 '모범 답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중국에 이어 일본과 대만이 테마섹을 모델로 한 국영투자회사 설립을 추진 중이다.
아랍에미리트(UAE) 내 아부다비도 넘쳐나는 오일머니를 활용해 고수익을 올리기 위해 새로운 투자기관을 만드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싱가포르투자청(GIC)을 본떠 한국투자공사(KIC)를 세운 우리나라에서도 KIC의 투자대상을 확대해 한국형 테마섹을 설립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아시아 외환보유 대국을 중심으로 '테마섹 벤치마킹 붐'이 일고 있는 것이다.
세계적으로 투자자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는 테마섹의 성공 요인을 짚어봤다.
◆'주식회사 싱가포르'의 사령탑
테마섹은 정부 지분 20% 이상인 싱가포르 기업을 뜻하는 GLC(정부 출자회사· Government Linked Corporation)를 관리하기 위해 1974년 만들어진 지주회사다.
그래서 정식 이름도 '테마섹 홀딩스'다.
싱가포르 정부(재무부)가 100% 출자해 설립된 후 33년 동안 지배구조가 한 번도 바뀌지 않았다.
테마섹은 직접 투자한 22개 대형 공기업을 관리,감독하고 있다.
싱가포르텔레콤,싱가포르항공,항만운영사인 PSA와 케펠 코퍼레이션,금융그룹 DBS 등 굵직한 싱가포르 기업들을 거느리고 있다.
이들 회사가 다시 자회사,손(孫)회사를 두고 있어 테마섹이 영향력을 미치는 기업은 수천 개에 이른다.
선박건조에서 반도체 제조,동물원 운영까지 손대지 않는 사업이 없다.
테마섹이 직접 투자해 싱가포르 증시에 상장된 회사들은 2001년 현재 증시 시가총액의 27%를 점하고 있다.
◆글로벌화로 승부(Go! Global)
테마섹의 성공은 과감한 글로벌화에서 비롯됐다.
GLC를 관리하던 회사가 왜 글로벌화에 '목숨'을 걸게 됐을까.
그 이유는 간단하다.
싱가포르 정부가 1980년대 이후 금융 통신 물류 부동산 사회간접자본 등 다양한 GLC들의 해외투자를 적극 유도하면서 지주회사인 테마섹도 글로벌화에 시동을 건 것이다.
싱가포르 정부는 구체적으로 △GLC 상장을 통해 정부 지분을 줄이고 △감독 당국이나 위원회를 해당 GLC와 통합시켰으며 △GLC의 글로벌화와 해외투자를 지원했다.
특히 1990년대 후반 아시아 외환위기 과정에서 아시아 지역 자산가격이 폭락하자 이를 대거 매입하면서 글로벌화가 가속화됐다.
테마섹의 출자회사는 초창기엔 100% 싱가포르 기업이었다.
그러나 글로벌화의 진전으로 설립 32년째인 작년 3월 말 현재 해외자산의 비중은 56%로 싱가포르 내 자산을 추월했다.
테마섹의 싱가포르 내 투자는 1년 전 49%에서 44%로 감소했다.
아시아 투자 비중(일본 제외)이 1년 전 19%에서 34%로 대폭 늘어났기 때문이다.
한편 한국을 제외한 선진국(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기준) 투자 비중은 30%에서 20%로 감소했다.
테마섹 투자가 다변화되면서 맨파워도 글로벌화됐다.
테마섹의 본사 직원은 총 250여명.이들이 테마섹과 관련된 전 세계 25만명의 종업원들을 진두 지휘하고 있다.
이들 250명은 싱가포르뿐만 아니라 미국 러시아 남아프리카공화국 중국 레바논 한국 등에서 스카우트한 최고의 금융전문가들로 이뤄져 있다.
간부급 직원의 40%는 싱가포르 태생이 아니다.
이들 '다국적 직원'이 전 세계 시장을 이잡듯 뒤지며 먹잇감을 찾는 테마섹의 핵심 역량이 되고 있다.
◆저위험 고수익(low risk,high return)
테마섹은 작년 3월 말 현재 1290억 싱가포르달러(850억달러)의 운용자산을 보유하고 있다.
설립 당시 자산 3억5000만 싱가포르달러가 32년 만에 35배 늘어난 것이다.
이 기간 연평균 18%의 수익률을 기록했으며 유일한 주주인 싱가포르 재무부에 연평균 7%의 배당이익을 안겨다 주었다.
작년 한 해에만 테마섹의 수익률은 24%에 달했다.
세계 각국 중앙은행들이 미국 국채 같은 안전자산을 선호하면서 자산운용 수익률이 5% 안팎에 그치는 것과 대조된다.
투자시장에서 고수익엔 고위험이 따른다는 사실(high risk,high return)이 불문율 같지만 테마섹에 대입해보면 그렇지만도 않다.
'저위험 고수익'(low risk,high return)이 가능하다는 것을 웅변해준다.
테마섹은 설립 이후 일관된 투자전략을 유지해 좋은 성과를 냈다.
투자전략은 크게 네 가지로 요약된다.
△아시아 지역에 집중 △늘어나는 중산층을 주목 △바이오 산업 등의 비교우위 △이머징 마켓에서 탄생한 글로벌 기업에 투자한다는 원칙이 그것이다.
테마섹은 또 성장 잠재력이 높은 투자 대상을 골라 그 잠재력을 극대화시킨다.
전략적 개발(Strategic Development),기업 발전(Corporate Development) 등이 그런 전략의 주요 개념이다.
물론 공격적인 투자를 하다보니 실패 사례도 있다.
싱가포르항공의 에어 뉴질랜드 투자,대만 차터드반도체 투자가 그런 예다.
해저 통신케이블을 구축하는 C2C에 대한 투자도 실패했다.
테마섹은 투자자본수익률(ROI)을 꼼꼼히 챙긴다.
사업성이 없는 것으로 밝혀지면 곧바로 투자금을 회수한다.
냇스틸이란 싱가포르 철강 회사가 세계적 철강 업체와 경쟁하기엔 규모와 역량이 너무 모자란다고 판단,인도 타타스틸에 팔아버렸다.
부동산 회사인 래플스 홀딩스도 '래플스&스위스오텔'이란 브랜드가 붙여진 41개 호텔의 지분을 모두 매각했다.
테마섹은 앞으로 싱가포르 내,아시아,선진국 투자 포트폴리오를 3분의 1씩 균등하게 가져간다는 목표를 세웠다.
투자위험을 분산시키려는 의도에서다.
이 회사는 "지역적으로는 아시아 투자가 전체의 80%에 육박하지만 AAA마이너스 이상 등급의 자산과 OECD 국가에 대한 투자로 따지면 3분의 2가 넘는다"며 자산의 안전성을 강조한다.
또 포트폴리오의 80%가 상장기업이거나 유동자산으로 환금성도 뛰어나다.
◆아시아 금융허브 목표
2002년 싱가포르 리셴룽 총리(리콴유 전 총리의 장남)의 부인인 호칭 여사가 최고경영자(CEO)로 취임하면서 테마섹에 변화의 바람이 불기 시작했다.
호칭 사장은 '싱가포르를 중심으로 한 범아시아 금융네트워크 구축'을 새 목표로 내걸었다.
테마섹은 이를 위해 2003년부터 해외 은행을 마구 사들이기 시작했다. 인도네시아 최대 다나몬은행(59%),인터내셔널뱅크(35%),인도 최대 은행 ICICI(8%),중국건설은행(6%),중국은행(5%) 등에 투자를 늘려갔다.
우리나라 하나금융에도 투자해 약 10%의 지분을 갖고 있다.
테마섹 산하인 싱가포르 DBS 은행이 한국 외환은행 인수전에 나서면서 테마섹이란 이름은 더욱 우리 귀에 익숙해졌다.
전문가들은 테마섹의 '아시아 금융허브' 전략이 확장되고 있다고 본다.
작년 3월 인수한 스탠다드차타드은행을 통해 아시아뿐 아니라 전 세계로 사업영역을 넓히려는 의지를 보였다는 것이다.
'글로벌 금융제국'을 목표로 공격 경영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장규호 기자 danielc@hankyung.com
중국에 이어 일본과 대만이 테마섹을 모델로 한 국영투자회사 설립을 추진 중이다.
아랍에미리트(UAE) 내 아부다비도 넘쳐나는 오일머니를 활용해 고수익을 올리기 위해 새로운 투자기관을 만드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싱가포르투자청(GIC)을 본떠 한국투자공사(KIC)를 세운 우리나라에서도 KIC의 투자대상을 확대해 한국형 테마섹을 설립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아시아 외환보유 대국을 중심으로 '테마섹 벤치마킹 붐'이 일고 있는 것이다.
세계적으로 투자자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는 테마섹의 성공 요인을 짚어봤다.
◆'주식회사 싱가포르'의 사령탑
테마섹은 정부 지분 20% 이상인 싱가포르 기업을 뜻하는 GLC(정부 출자회사· Government Linked Corporation)를 관리하기 위해 1974년 만들어진 지주회사다.
그래서 정식 이름도 '테마섹 홀딩스'다.
싱가포르 정부(재무부)가 100% 출자해 설립된 후 33년 동안 지배구조가 한 번도 바뀌지 않았다.
테마섹은 직접 투자한 22개 대형 공기업을 관리,감독하고 있다.
싱가포르텔레콤,싱가포르항공,항만운영사인 PSA와 케펠 코퍼레이션,금융그룹 DBS 등 굵직한 싱가포르 기업들을 거느리고 있다.
이들 회사가 다시 자회사,손(孫)회사를 두고 있어 테마섹이 영향력을 미치는 기업은 수천 개에 이른다.
선박건조에서 반도체 제조,동물원 운영까지 손대지 않는 사업이 없다.
테마섹이 직접 투자해 싱가포르 증시에 상장된 회사들은 2001년 현재 증시 시가총액의 27%를 점하고 있다.
◆글로벌화로 승부(Go! Global)
테마섹의 성공은 과감한 글로벌화에서 비롯됐다.
GLC를 관리하던 회사가 왜 글로벌화에 '목숨'을 걸게 됐을까.
그 이유는 간단하다.
싱가포르 정부가 1980년대 이후 금융 통신 물류 부동산 사회간접자본 등 다양한 GLC들의 해외투자를 적극 유도하면서 지주회사인 테마섹도 글로벌화에 시동을 건 것이다.
싱가포르 정부는 구체적으로 △GLC 상장을 통해 정부 지분을 줄이고 △감독 당국이나 위원회를 해당 GLC와 통합시켰으며 △GLC의 글로벌화와 해외투자를 지원했다.
특히 1990년대 후반 아시아 외환위기 과정에서 아시아 지역 자산가격이 폭락하자 이를 대거 매입하면서 글로벌화가 가속화됐다.
테마섹의 출자회사는 초창기엔 100% 싱가포르 기업이었다.
그러나 글로벌화의 진전으로 설립 32년째인 작년 3월 말 현재 해외자산의 비중은 56%로 싱가포르 내 자산을 추월했다.
테마섹의 싱가포르 내 투자는 1년 전 49%에서 44%로 감소했다.
아시아 투자 비중(일본 제외)이 1년 전 19%에서 34%로 대폭 늘어났기 때문이다.
한편 한국을 제외한 선진국(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기준) 투자 비중은 30%에서 20%로 감소했다.
테마섹 투자가 다변화되면서 맨파워도 글로벌화됐다.
테마섹의 본사 직원은 총 250여명.이들이 테마섹과 관련된 전 세계 25만명의 종업원들을 진두 지휘하고 있다.
이들 250명은 싱가포르뿐만 아니라 미국 러시아 남아프리카공화국 중국 레바논 한국 등에서 스카우트한 최고의 금융전문가들로 이뤄져 있다.
간부급 직원의 40%는 싱가포르 태생이 아니다.
이들 '다국적 직원'이 전 세계 시장을 이잡듯 뒤지며 먹잇감을 찾는 테마섹의 핵심 역량이 되고 있다.
◆저위험 고수익(low risk,high return)
테마섹은 작년 3월 말 현재 1290억 싱가포르달러(850억달러)의 운용자산을 보유하고 있다.
설립 당시 자산 3억5000만 싱가포르달러가 32년 만에 35배 늘어난 것이다.
이 기간 연평균 18%의 수익률을 기록했으며 유일한 주주인 싱가포르 재무부에 연평균 7%의 배당이익을 안겨다 주었다.
작년 한 해에만 테마섹의 수익률은 24%에 달했다.
세계 각국 중앙은행들이 미국 국채 같은 안전자산을 선호하면서 자산운용 수익률이 5% 안팎에 그치는 것과 대조된다.
투자시장에서 고수익엔 고위험이 따른다는 사실(high risk,high return)이 불문율 같지만 테마섹에 대입해보면 그렇지만도 않다.
'저위험 고수익'(low risk,high return)이 가능하다는 것을 웅변해준다.
테마섹은 설립 이후 일관된 투자전략을 유지해 좋은 성과를 냈다.
투자전략은 크게 네 가지로 요약된다.
△아시아 지역에 집중 △늘어나는 중산층을 주목 △바이오 산업 등의 비교우위 △이머징 마켓에서 탄생한 글로벌 기업에 투자한다는 원칙이 그것이다.
테마섹은 또 성장 잠재력이 높은 투자 대상을 골라 그 잠재력을 극대화시킨다.
전략적 개발(Strategic Development),기업 발전(Corporate Development) 등이 그런 전략의 주요 개념이다.
물론 공격적인 투자를 하다보니 실패 사례도 있다.
싱가포르항공의 에어 뉴질랜드 투자,대만 차터드반도체 투자가 그런 예다.
해저 통신케이블을 구축하는 C2C에 대한 투자도 실패했다.
테마섹은 투자자본수익률(ROI)을 꼼꼼히 챙긴다.
사업성이 없는 것으로 밝혀지면 곧바로 투자금을 회수한다.
냇스틸이란 싱가포르 철강 회사가 세계적 철강 업체와 경쟁하기엔 규모와 역량이 너무 모자란다고 판단,인도 타타스틸에 팔아버렸다.
부동산 회사인 래플스 홀딩스도 '래플스&스위스오텔'이란 브랜드가 붙여진 41개 호텔의 지분을 모두 매각했다.
테마섹은 앞으로 싱가포르 내,아시아,선진국 투자 포트폴리오를 3분의 1씩 균등하게 가져간다는 목표를 세웠다.
투자위험을 분산시키려는 의도에서다.
이 회사는 "지역적으로는 아시아 투자가 전체의 80%에 육박하지만 AAA마이너스 이상 등급의 자산과 OECD 국가에 대한 투자로 따지면 3분의 2가 넘는다"며 자산의 안전성을 강조한다.
또 포트폴리오의 80%가 상장기업이거나 유동자산으로 환금성도 뛰어나다.
◆아시아 금융허브 목표
2002년 싱가포르 리셴룽 총리(리콴유 전 총리의 장남)의 부인인 호칭 여사가 최고경영자(CEO)로 취임하면서 테마섹에 변화의 바람이 불기 시작했다.
호칭 사장은 '싱가포르를 중심으로 한 범아시아 금융네트워크 구축'을 새 목표로 내걸었다.
테마섹은 이를 위해 2003년부터 해외 은행을 마구 사들이기 시작했다. 인도네시아 최대 다나몬은행(59%),인터내셔널뱅크(35%),인도 최대 은행 ICICI(8%),중국건설은행(6%),중국은행(5%) 등에 투자를 늘려갔다.
우리나라 하나금융에도 투자해 약 10%의 지분을 갖고 있다.
테마섹 산하인 싱가포르 DBS 은행이 한국 외환은행 인수전에 나서면서 테마섹이란 이름은 더욱 우리 귀에 익숙해졌다.
전문가들은 테마섹의 '아시아 금융허브' 전략이 확장되고 있다고 본다.
작년 3월 인수한 스탠다드차타드은행을 통해 아시아뿐 아니라 전 세계로 사업영역을 넓히려는 의지를 보였다는 것이다.
'글로벌 금융제국'을 목표로 공격 경영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장규호 기자 daniel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