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미국 재무부에 중국은행이 방코델타아시아(BDA)에 동결됐던 북한 돈을 받아도 뒤탈이 없을 것이라는 내용의 각서를 써 달라고 요구했다.

이에 미국 재무부는 구두 보장이면 몰라도 각서는 어렵다는 입장으로 맞서고 있어 BDA 자금 문제가 갈수록 꼬이는 양상이다.

서울의 한 외교 소식통은 "중국이 미국에 중국은행이 불이익을 받는 일은 없을 것이라는 것을 문서화해 달라고 요구해 미국이 난색을 표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5일 전했다.

이 외교 소식통은 "중국이 무리한 요구를 한 것으로 보이는데 북한은 미국이 말로는 BDA 동결을 풀어주고 실제로는 금융 제재를 고수하겠다는 의도를 갖고 있는 게 아닌지 의심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은 8∼11일 방북하는 빌 리처드슨 뉴멕시코 주지사 일행에 빅터 차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보좌관을 포함시켜 설득 작업을 할 예정이다.

북한은 미국의 동결 해제 발표 후 17일째 돈을 찾아가지 못하고 있다.

중국 금융계에 정통한 소식통은 "미국 재무부가 BDA에 미 금융권과 거래를 금지시킨 조치가 발효되는 4월14일부터 BDA는 모든 달러 계좌가 폐쇄돼 달러 이체를 할 수 없다"고 말했다.

북한은 BDA 50여개 계좌 중 차명 및 가명 계좌가 포함돼 있어 직접 인출을 꺼리고 있다.

중국은행이 전달 역을 거부하는 데 대해선 동정론이 일반적이다.

BDA 북한 돈은 미국이 '불법'으로 낙인 찍은 자금이 절반에 달하고 무기거래 혐의로 미국 정부의 공식 제재를 받는 단천상업은행 계좌까지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국 정부가 각서를 요구한 것은 지나치다는 시각도 있다.

이와 관련,서울의 다른 외교 소식통은 "중국은 북한이 돈을 전액 찾아가고 마카오 BDA만 제재를 받게 된 데 대해 불만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BDA 해결을 전제로 한 북한 영변 핵시설 폐쇄의 초기 이행 시한을 4월 중순에서 그 이후로 연장하는 방안이 북핵 6자회담 참여국 사이에서 논의되고 있다고 미국 워싱턴 타임스가 5일 보도했다.

정지영 기자 c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