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을 중심으로 임금 인상 속도를 조절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가 2000년대 들어 더욱 벌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9일 내놓은 '국내 기업의 임금협상에 대한 제언' 보고서에서 "2000년 대기업의 월평균 임금은 214만7000원으로 중소기업의 140.3% 수준이었는데 지난해에는 349만원으로 153.0% 선으로 늘어나 6년간 격차가 12.7%포인트나 더 벌어졌다"며 "대기업을 중심으로 올해 임금 인상을 자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노동통계국 조사 결과 2005년 우리나라 제조업의 시간당 보수는 13.56달러(21위)로 경쟁국인 싱가포르(7.66달러,23위)의 1.8배,대만(6.38달러,25위)의 2.1배,홍콩(5.65달러,28위)의 2.4배를 기록했다.

특히 시간당 보수의 상승 속도는 '세계적인 수준'이었다.

2000년부터 2005년까지의 시간당 보수 연평균 상승률이 11.1%로 헝가리(13.9%)와 체코(13.4%)에 이어 3위(조사 대상국 31개)를 차지했다.

상의는 △거의 매년 일정폭 인상을 전제로 하는 임금협상 관행 △우수 인재 유치를 위한 대기업 간 대졸 초임 경쟁 △연공서열에 따른 임금체계 등을 임금 수준 결정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꼽았다.

상의는 따라서 "노동계와 경영계에 모두 중립적일 수 있는 '생산성 임금제'가 개별 기업의 임금 수준 결정에 기본이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연공서열형으로 대표되는 현재의 경직적 임금체계에서 벗어나 직무 분석을 기초로 생산성과 연계하는 직무급으로의 전환을 서둘러야 한다고 덧붙였다.

유창재 기자 yooc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