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경제교과서는 미국,일본교과서에 비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시장실패에 대한 설명은 지나치게 많은 반면 기업가 정신에 대한 설명은 부족하다는 게 그 핵심이다.
게다가 기업경영활동 사례로 환경오염이나 유해식품 판매,대기업 횡포 등 일부의 비윤리적 행위를 소개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우리의 현행 경제교과서가 선진국에 비해 이윤창출이라는 기업의 목적은 소홀히 다루면서 시장실패는 부각시킴으로써 반기업·반시장 정서를 부추기고 있다는 분석이고 보면 걱정이 아닐 수 없다.
특히 미래 경제주체들이 배우는 교과서가 시장경제와 자본주의의 본질을 제대로 반영하기는커녕 오히려 이를 왜곡하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물론 우리 경제교과서의 내용에 많은 문제점이 있다는 것은 새삼스러운 얘기는 아니다.
실제로 전경련 등 경제단체들은 기존 교과서가 담고 있는 반기업,반시장적 편향성을 시정해달라고 정부당국에 요구하는가 하면,새로운 경제교과서 모형을 직접 개발해 발간하기도 했다.
그런데도 경제 교과서가 진보와 보수 간 이념투쟁의 대상으로 전락하면서 아직까지 그릇된 내용이 제대로 시정되지 못하고 있는 게 우리의 현실이다.
때문에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비롯 시장실패,기업가 정신,작은 정부 등의 해석을 놓고 선진국과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이번 조사결과는 교과서 문제의 심각성을 다시 한번 일깨워준다.
특히 작고 효율적인 정부의 중요성에 대해 사례를 들어 설명하고 있는 미국 교과서와는 달리 시장실패로 인해 정부가 해야 할 일이 많아지고 있다고 기술한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
교과서 내용에 문제가 있는 게 비단 이뿐만은 아니다.
자유주의연대가 14일 중학교 사회교과서 10종 가운데 8종,고교 사회교과서 8종 가운데 6종이 편향되거나 왜곡된 내용을 담고 있어 수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다.
시장경제를 왜곡하고 반기업정서를 부추기는 내용의 경제 교과서로 공부한 학생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수 없는 것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이번 기회에 정부 당국은 선진국 교과서를 참고해 기업가 정신을 북돋우고 시장경제를 부추기는 방향으로 교과서 내용을 하루빨리 시정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