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고령사회委 설문조사… 임신.출산 이후 강압 퇴직 많아

여성 근로자의 절반 가까이가 법적으로 보장된 산전후 휴가를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가 2005년 3월부터 지난해 2월까지 출산한 대도시 소재 사업장의 여성근로자 568명과 기업체 212곳을 대상으로 조사해 16일 발표한 데 따르면 58.2%만이 법정 휴가일인 90일을 전부 사용했다.

정규직 및 100인 이상 사업체 근로자는 각각 60.6%, 75.5%가 90일간의 휴가를 사용한 반면 비정규직과 100인 미만 사업체는 36.5%, 25.9%에 그쳤다.

특히 여성근로자 568명 중 퇴직자가 324명에 달했는데, 산전후 휴가를 사용하지 못하고 퇴직한 응답자의 43%가, 90일간의 산전휴가를 다 채우지 못한 응답자의 52%가 `회사측 압력에 의한 비자발적 퇴직'이라고 밝혔다.

임신과 출산이 여성 고용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셈이다.

출산후 직장에 복귀한 여성들도 30.9%가 비자발적인 요인으로 퇴사를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직장내 임신여성에 대한 차별 여부에 대해선 복귀 근로자의 51.6%가, 퇴직자의 61.1%가 `차별이 있다'고 밝혔다.

자발적으로 퇴직했다는 응답자들의 경우 그 이유로 71.1%가 `급여에 비해 육아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산전후 휴가를 다 사용하지 못한 이유로는 동료에 대한 부담(29.4%), 복직에 대한 불안(23.5%), 회사 관행(15.7%) 등이 꼽혔다.

산전후 휴가중 업무는 동료들의 분담(72.1%)이나 대체 인력 고용(21.7%) 등으로 채웠다.

회사측은 대체 인력을 활용하지 않는 이유로 `적정 인력 확보의 어려움'(47.7%), `한시적으로는 업무 담당자가 없어도 된다'(20.5%), `인건비 부담'(13.6%) 등을 들었다.

산전후 휴가 이후 업무 능률에 대해선 여성근로자의 21.3%가 `향상됐다', 18.4%가 `저하됐다'고 밝혔으나 회사측은 3.1%만이 `향상됐다'고 답하는 등 큰 차이를 보였다.

출산을 전후한 퇴직자들의 경우 80% 이상이 다시 일을 하고 싶다는 소망을 피력했으며, 그 이유로는 `경제적 필요에 의해'(69.9%), `성취감을 위해'(18.3%), `사회적 소속감을 위해'(9.8%) 등이 많았다.

하지만 92.5%가 노동시장 복귀에 육아문제가 걸림돌이라고 지적했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대체 인력 활용 지원, 사업장 밀집지역 보육시설 설치, 근로시간의 탄력적 운영 등 출산 여성 근로자의 노동시장 이탈 방지와 복귀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황정욱 기자 hjw@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