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대선 경선 시기를 놓고 지지율 변동에 따라 유력 후보들의 입장이 바뀌고 있다.

박근혜 전 대표 측은 대선 6개월 전까지 당 후보를 선출하도록 돼 있는 현행 당헌을 고수해야 한다는 태도에서 '경선 연기'의 필요성을 인정하고 나섰다.

반면 경선 연기를 주장해 왔던 이명박 전 서울시장 측은 신중한 자세를 보이고 있다.

박 전 대표 측의 유승민 의원은 8일 사견임을 전제로 "여당은 자기들 후보에 대한 검증기간을 짧게 하려고 할 거고 후보를 뽑아 놓고도 다른 후보를 내 판을 뒤집으려고 할 수도 있다.

독불장군처럼 (후보를 먼저 뽑고)할 필요가 있느냐"며 경선 연기 필요성을 주장했다.

박 전 대표는 '원칙 불가'를 표명했지만,유 의원이 박 전 대표의 핵심 측근이라는 점에서 그의 발언이 기류 변화를 의미하는 게 아니냐는 해석을 낳고 있다.

지지율이 낮아진 상황에서 시간이 좀 더 필요하다는 판단이 작용했다는 지적이 있다.

이에 대해 이 전 시장 측의 정두언 의원은 "좀 뒤처지는 주자들이나 새로 참여하고 싶은 주자들이 경선 연기를 요구하는 것 같은데,그 부분에 대해선 검토가 좀 필요하다.

경선방식을 정한 다음에 시기는 거기에 맞춰서 결정해야 한다"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지지율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어,경선 연기에 대해 소극적으로 나오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다.

그러나 다른 대선주자인 손학규 전 지사와 원희룡 의원도 후보 선출을 늦추자고 주장하고 있어 경선 연기가 불가피한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홍영식 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