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 주변에서 근거가 불분명한 각종 설이 꼬리를 물면서 연말정국이 설설 끓고 있다.

내년 4월 남북정상회담 추진을 비롯해 열린우리당 의원 10여명의 한나라당 입당 타진설과 여 의원의 집단 탈당설,노무현 대통령의 중대결심설 등은 실현 여부에 따라서는 향후 정국에 엄청난 파장을 몰고올 수 있는 사안들이라는 점에서 관심을 끌고 있다.

무엇보다 남북 정상회담 성사설이 최근 급부상했다.

여권이 어려움에 처하면서 여당 주변에서 꾸준히 제기돼온 이 사안은 청와대의 부인에도 불구하고 한나라당은 물론 정부 부처 일각에서조차 거론되는 등 점차 힘이 실리는 양상이다.

한나라당 정형근 의원은 "남북한의 실무자가 해외에서 계속 접촉하면서 회담의 구체적인 아젠다 등에 대한 마무리 협상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들었다"면서 "내년 3,4월로 들었다"고 말했다.

정부 고위당국자도 이와 비슷한 얘기를 한 바 있다.

한나라당은 구체적인 근거로 열린우리당 정동영 전 의장이 지난 6일 "내년 3∼4월이 남북정상회담의 적기"라고 시기를 박아 전망한 점과 이종석 전 통일부 장관이 퇴임 직전 잇따라 방북한 점,국민의 정부 시절 남북정상회담 준비실무를 맡은 것으로 알려진 인사들이 국정원 요직에 중용된 점 등에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고 있다.

남북정상회담은 여권의 위기 속 한나라당 독주로 요약되는 현 정국을 일거에 반전시킬수 있는 카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유기준 대변인은 12일 현안브리핑에서 "남북정상회담은 집권 4년간의 실정을 감추고 재집권을 노리기 위한 대국민 정치쇼"라고 비난했다.

여당 의원 10여명의 한나라당 입당 타진설도 나돌고 있다.

열린우리당은 "말도 안된다"며 발끈했지만 내부적으로는 "도대체 누구냐"는 얘기와 함께 도의원 출신의 A의원,장관직을 지낸 B의원,충청권 C 의원,수도권 의원 4~5명 등이 구체적으로 거명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들은 대체로 성향이 한나라당에 가까운 인사들로 당장은 아니더라도 여당이 해체되는 등 분열상을 보일 경우 현실화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비슷한 맥락에서 여당 의원의 집단탈당설도 제기된다.

통합신당 창당 논의가 지지부진할 경우 호남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의원들이 신당 추진에 탄력을 붙이기 위해 탈당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김근태 의장이 조만간 물러나 대선준비에 올인할 것이라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노 대통령의 거취와 관련된 설도 다양하다.

당 사수파를 지원하고 있는 노 대통령이 통합신당파와의 대결에서 밀린다면 신당에 합류하지 않고 독자신당을 만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일각에서는 중립적 인사들로 대선관리 거국내각을 구성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재창 기자 leej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