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이 부글부글 끓고 있다.

고질병인 당청(黨靑) 갈등이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고 있기 때문이다.

이미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여당과 협의도 없이 `여야정 정치협상회의'를 제의하고 김근태(金槿泰) 의장의 면담요청을 수차례 거절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청와대에 대한 불만이 고조될 대로 고조된 상태였다.

그러던 차에 28일 노 대통령이 국무회의 모두발언에서 당적포기를 시사하고 `임기를 마치지 못하는 첫 대통령이 안되길 바란다'는 발언을 공개적으로 내놓자 "해도 너무 한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거침없이 터져나오고 있다.

그동안 `질서있는 정계개편론'에 밀려 대통령에 대한 직접 비판을 자제하는 분위기가 강했지만 이제는 확연히 달라진 양상이다.

김근태(金槿泰) 의장을 비롯한 주요 당직자들은 이날 오후 여의도의 한 음식점에서 긴급회의를 소집해 당의 대응방안 등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당청이 한 배를 탄 공동운명체인 만큼 큰 대립없이 사태를 마무리하자는 견해도 개진됐지만 이제는 당청관계를 근본적으로 재검토해야 한다는 의견이 주류를 이뤘던 것으로 알려졌다.

충청권 초선의원은 대통령의 임기 발언에 대해 "임기를 그만두면 정치권은 동반궤멸이다.

대통령이 완전히 여야를 협박한 것"이라며 "대통령이 국민들을 자꾸 불안하고 정말 피곤하게 만들고 국가분위기를 우울하게 한다"고 성토했다.

당적포기 시사발언에 대해서도 "이제는 탈당해도 말릴 이유가 없다"는 격한 반응이 나오고 있다.

우윤근(禹潤根) 의원은 "도대체 대통령의 메시지가 뭔지 진의를 모르겠다"며 "우리도 죽을 맛이다.

탈당을 하겠다면 우리당이 기를 쓰고 말릴 이유가 없다"고 잘라 말했다.

이석현(李錫玄) 의원은 "개인적으로 통합을 하더라도 노 대통령을 빼고 가는 일은 있을 수 없다는 입장이었다"며 "그러나 대통령이 굳이 같이 가지 않겠다면 할 수 없는 일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수도권의 한 초선의원은 "대통령의 일련의 발언들로 인해 그동안 속으로 인내하면서 대통령을 옹호해왔던 당내 세력마저 떨어져 나갈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를 표시했다.

실제로 당내 소수이긴 하지만 대통령의 우군으로 분류됐던 일부 친노(親盧)세력마저 청와대의 잘못을 지적하고 나서 주목된다.

김형주(金炯柱) 의원은 "청와대가 당에 소홀한 것은 문제가 있고 돌발적으로 정치협상회의를 제안한 것에 대해 당이 섭섭함을 표현한 것은 정당하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이어 "당 내부적으로 대통령 탈당 얘기도 있으니 모든 집단이 이를 대비할 필요가 있다"며 "당내 세력간에도 불만의 합리적 해소를 위해 선도 탈당이나 분당 등을 얘기할 시간이 다가온 것 아니냐는 생각이 든다.

헤어진 다음에도 연대와 통합의 길은 있다"며 `합리적 결별론'을 제기했다.

그러나 대통령의 당적을 포함한 당청관계 설정문제에 있어 당이 직접 나서 대통령을 압박하는 형태가 돼서는 안된다는 지적도 있다.

전병헌(田炳憲) 의원은 "청와대와 당이 서로 불만을 표시하면서 장군멍군식으로 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참여정부를 잘 마무리하기 위해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지 당청간 질서있는 역할분담이 필요하고 그 과정에 탈당문제도 논의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친노 핵심으로 분류되는 이광재(李光宰) 의원은 "당이 지나친 것 같다"고 비판했다.

그는 "임기말만 되면 대통령을 공격하고 흔드는 유행병이 더이상 도지지 않았으면 좋겠다"면서 "대통령을 공격한다고 해서 당이나 본인의 지지도가 오르는 것은 아니고 도리어 여권의 혼란만 가중한다"며 당 지도부의 자제를 촉구했다.

(서울연합뉴스) 류지복 기자 jbryo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