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 마켓PRO 텔레그램을 구독하시면 프리미엄 투자 콘텐츠를 보다 편리하게 볼 수 있습니다. 텔레그램에서 ‘마켓PRO’를 검색하면 가입할 수 있습니다. 섬유·의류 관련주가 최근 반등하고 있다. 미국발 관세 공포와 경기 침체 우려 등으로 부진했으나 올 6월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내수 소비 회복 기대 등이 커지며 소폭 회복세다. 2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섬유·의류' 지수는 지난 9일 연저점(201.08)으로 하락한 뒤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다. 최근 2주(4월14일~28일) 사이에 7.49% 올랐다. 같은 기간 코스피지수(4.77%) 상승률을 웃돌았다. '섬유·의류' 지수의 시가총액 비중이 가장 높은 F&F가 16.50% 급등했다. 이어 여성복 브랜드 '베스띠벨리'를 보유 중인 신원(11.30%), 유니켐(6.73%), 일신방직(6.72%), 한섬(6.49%) 등 구성종목들이 줄줄이 강세를 나타냈다. 구성 종목 외 기업인 코오롱인더(8.19%), 한세실업(3.45%), 영원무역(3.44%) 등도 소폭 반등했다.섬유·의류 업종은 재량 소비재로 경기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다. 경제가 호황일 때 의류 소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경기 침체 시 소매 판매가 감소하면서 타격을 입는 경우가 많아서다. 오는 6월 초 대선 앞두고 내수 소비 부양책이 나오면서 단기 주가 상승 모멘텀(동력)이 기대되고 있다. 최근 추가경정예산안(추경)이 국회 통과를 앞두고 있어 소비 심리가 회복될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주요 의류 수출국으로 꼽히는 중국 내수 소비가 살아나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이다.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지난 1분기 중국 의류·신발 등 소매판매는 3869억위안(약 76조3400억
※ ‘조아라의 차이나스톡’은 조아라 한국경제신문 기자가 매주 화요일 한경닷컴 사이트에 게재하는 ‘회원 전용’ 재테크 전문 콘텐츠입니다. 한경닷컴 회원으로 가입하시면 더 많은 콘텐츠를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중국 장난감 회사 팝마트의 연일 최고가를 경신하고 있다. 글로벌 저가 완구 수요가 꾸준한 가운데 최근 미국 앱 스토어에서 1위를 차지했다는 소식이 주가를 견인했다. 美 앱스토어 1위...알리바바보다 더 오른 팝마트 28일 홍콩증권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팝마트는 12.01% 급등한 193홍콩달러에 마감했다. 2020년 12월11일 상장이래로 가장 높은 가격에 거래를 마쳤다. 실적 개선 기대가 커지면서 지난해 한 해 342.72% 급등한 데 이어 올해 111.74% 폭등했다. 홍콩 증시 대표주인 알리바바(41.70%)를 비롯해 샤오미(39.71%)·텐센트(14.95%)·바이두(7.55%)의 올해 상승률을 웃돌았다. 이날 시가총액은 2592억홍콩달러(약 48조2200억원)을 돌파했다.글로벌 모바일 시장 데이터 분석 업체 센서타워에 따르면 지난 25일 팝마트 앱은 미국 아이폰 앱스토어 쇼핑 카테고리에서 1위를 기록했다. 주력 캐릭터인 라부부(Labubu) 3세대 신제품(빅 인투 에너지) 출시를 계기로 앱에 접속한 소비자들이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미국 애플 앱스토어 1위 소식이 전해진 이후 첫 거래일인 이날 매수세가 집중됐다.최근 블랙핑크 리사와 로제, 팝스타 리한나 등 해외 유명 연예인과 셀럽들이 라부부 인형을 가방에 걸고다니는 모습 등이 포착되면서 구매 욕구를 자극하고 있다. 중국 현지 언론은 "라부부 신제품 출시일 미국 LA와 영국 옥스포드의 오프라인 매장에 엄청 긴 줄이 형성됐다"며 &quo
호텔신라 주가가 하루 만에 10% 넘게 급등했다. 1분기 영업손실 규모가 예상치 나았던 게 면세점 업황 반등의 신호탄으로 해석되기도 하면서다.다만 면세점 업황이 갑자기 극적으로 반등할 것으로 전망하는 전문가들은 많지 않다. 경쟁이 완화되고 있지만 아직 업황 회복을 확신할 수 없다는 데 증권가의 중론이다.2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일 호텔신라는 12.79% 상승한 4만4100원에 거래를 마쳤다.1분기 시내 면세점 부문의 수익성이 개선된 점을 바탕으로 대신증권이 “면세점 업황의 저점 통과”를 전망하면서 투자자들의 이목을 끌었다. 대신증권은 호텔신라 투자의견을 기존 중립에서 ‘매수’로, 목표주가를 4만2000원에서 5만원으로 각각 상향 조정했다. 신한투자증권 역시 호텔신라 목표주가를 기존 3만8000원에서 4만1000원으로 올렸다. 투자의견은 ‘트레이딩 바이’를 유지했다.유정현 대신증권 연구원은 “면세점 업계의 노력으로 시내면세점 부문의 수익성이 의미 있는 개선세를 보였다”며 “공항면세점 부문은 임차료가 실적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지만, 국내외 공항과 협상 중으로 올해 2~3분기에 가시적 성과가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호텔신라는 지난 1분기에 매출 9718억원, 영업손실 25억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0.9% 줄었고, 영업이익은 적자로 전환했다. 다만 영업손실 규모가 실적 발표 직전 집계된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 영업적자 66억원의 절반 이하 수준이었다.손실 규모가 예상보다 나았던 배경으로는 시내면세점의 호실적이 꼽혔다. 증권가에선 지난해 4분기 손익분기점(BEP) 수준에 그친 호텔신라의 시내면세점 영업이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