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리는 한·미·일 정상회담에서는 6자회담 재개를 위한 대책마련이 주요 의제가 될 전망이다.

1년여간 교착 상태였던 6자 회담이 최근 베이징 북·미·중 회동을 통한 북한의 복귀 합의로 재개되기 때문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6자회담의 목표에 대한 3국의 공동 인식을 조율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다음 달 중 재개될 예정인 6자회담에서 북핵 문제를 실질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기 위해 3국 정상이 머리를 맞대는 자리라는 것이다.

실제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은 16일 싱가포르 국립대학 연설에서 "미국은 6자회담이 성공하길 바라고 이를 위해 제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혀 6자회담에 큰 기대를 걸고 있음을 분명히 했다.

특히 부시 대통령은 "만약 북한이 평화적인 길을 택한다면 미국을 비롯한 6자회담 당사국은 북한 주민들을 위해 안보를 보장하는 한편 경제적 지원과 다른 혜택도 제공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도 했다.

중간선거 패배 후 '협상을 통한 북핵사태 해결'을 희망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3국 정상은 따라서 9·19 공동성명 이행을 위한 북한 측 조치와 이에 상응하는 관련국의 조치 내용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15일 3국 6자회담 수석대표 회동에서는 북한 측이 취해야 할 '선행조치'를 조율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중에는 영변의 5㎿급 원자로 가동중단 등 '핵동결'에 해당되는 방안을 정리하고,관련국의 조치로는 중유 제공 등 물질적인 지원 등이 검토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3국 정상회담을 통해 느슨해진 3국 간 동맹관계를 다시 공고히 하는 계기가 될 것이란 기대도 있다.

정부 소식통은 "노무현 대통령 취임 이후 처음으로 3국 정상이 함께 하는 자리여서 한·미동맹,한·일동맹의 의미가 재확인되는 한편 각국이 관련된 현안에 대해 자연스럽게 의견을 교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홍열 기자 com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