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유환 교수와 허문영 실장은 "대북 포용정책의 근간을 흔들어서는 안된다"면서도 "북한 핵실험에 대한 정부의 대응능력에 문제가 있다"는데 인식을 같이했다.

우선 정부의 정보수집 능력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점이 지적됐다.

"국가정보원장이 북한 핵실험이 9일 이뤄질 것이라는 것을 미리 알고 있었으면서도 국회에 나가서 모른척 한 것 아니냐"는 사람들이 있던데,국정원은 정말로 마지막까지 북한 핵실험 시기를 알지 못했다는 게 두 사람의 설명이다.

고유환 교수는 "미국과 일본은 이미 지난주에 북한이 9일을 전후해 핵실험에 나설 것임을 알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며 "반면 개인적으로 최근 몇 주간 정부 당국자들과 접촉해본 결과 우리 당국자들은 북한이 이렇게 빠른 시간에 핵실험에 나설 것을 예상하지 못했던 게 확실하다"고 전했다.

정부의 나태한 현실인식도 도마 위에 올랐다.

"이미 올해 초부터 외교·안보라인 관계자들을 만날 때마다 '북한이 핵실험에 나설 것'이라고 경고했지만,'그럴 일은 없다'는 대답이 많았다"는 얘기도 나왔다.

두 사람은 북한의 핵실험 이후 정부가 취해나가야 할 정책방향에 대한 제언도 아끼지 않았다.

우선 남북교역 재검토 문제는 전면적으로 중단하기보다는 단계를 밟아 축소해나갈 것을 권했다.

주체별로는 정부→기업→시민단체 순으로,정도별로는 축소→동결→파기하는 수순으로 단계를 밟아나갈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전면적인 축소는 북한을 더욱 자극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범정부 차원의 위기관리 센터를 만들 필요성도 제기됐다.

허문영 실장은 "외교통상부 통일부 재정경제부 산업자원부 등은 관계기관 대책반을 편성해 경제에 미칠 악영향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특히 재외공관과 재계대표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위기관리 센터를 통해 마련된 시장 안정대책을 해외투자자나 신용평가 회사에 적극적으로 전달,국가 신용등급이 하락하는 것을 막아야 한다는 게 허 실장의 설명이다.

고 교수도 생각을 같이 했다.

그는 "지금 상황에서 대북 포용정책의 잘잘못을 논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며 "정부와 국민이 하나가 돼 위기를 적극적으로 돌파하는 노력이 우선시돼야 한다"고 말했다.

송종현 기자 screa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