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서울에서 열리는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의 한·일 정상회담과 13일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과의 베이징 한·중 정상회담에서도 북핵 문제가 핵심 의제로 다뤄진다.

한·일 정상회담에서는 북한의 핵실험 강행 방침에 대한 강력한 우려의 메시지 전달과 함께 6자회담 재개 등 북핵 해법에 대한 심도 있는 의견 조율이 이뤄질 전망이다.

또 아베 정권 출범을 계기로 1년4개월째 단절돼 있는 양국 정상외교를 복원시키기 위한 계기를 마련하기로 외교당국 간 의견 조율을 마친 상태다.

아베 총리는 과거사 문제와 관련,일제 식민지 지배와 침략전쟁을 반성한다는 입장을 표명할 계획이다.

한·중 정상회담은 1992년 양국 수교 이래 한·중 정상 간 최초의 '실무 방문' 형식으로 이뤄지며,노무현 대통령은 베이징에는 단 7시간만 체류한다.

가장 큰 의제는 물론 북핵 문제로 노 대통령과 후진타오 주석은 배석자 없이 단독 회담에서 집중 논의한다.

미국의 대북 금융제재로 1년 넘게 교착 상태에 빠져 있는 6자회담 테이블로 북한을 어떻게 끌어내느냐가 대화의 초점이다.

북한이 핵실험 계획 발표라는 '벼랑 끝' 전술을 씀에 따라 중국의 대북한 '지렛대' 역할에 논의가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양국 관계의 우려 요인으로 등장하고 있는 동북공정 문제 해결 방안도 도출한다.

이심기 기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