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 국민들이 시장주의적 개혁을 내세운 중도우파 연합을 선택했다. 스웨덴식 사회모델을 내세워 지난 74년 중 65년을 집권했을 만큼 강세를 보여왔던 좌파가 정권을 잃게 된 것이다. 이에 따라 '요람에서 무덤까지'라는 스웨덴식 복지정책에 적잖은 변화가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뿐만 아니라 스웨덴 모델이 세계적으로 널리 회자(膾炙)돼 온 것이 사실이고 보면 유럽은 물론 각국 정책에도 어떤 형태로든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한마디로 이번 선거의 의미가 작지 않다.

그런 점에서 스웨덴 국민들이 왜 정권 교체를 선택했는지 그 배경에 세계 이목이 쏠리는 것은 너무도 당연하다. 무엇보다 이번 선거에서 뚜렷이 대비된 여야간 슬로건에 주목(注目)해 볼 필요가 있다. 집권 사민당 주도의 중도좌파는 실업보험금 증액,육아비 및 의료비 확충 등 복지제도 강화를 내세웠다. 야당이 내세운 감세보다는 복지가 우선임을 분명히 한 것이다. 이에 반해 중도우파 연합은 대규모 감세와 과감한 기업 민영화를 주장했다. 복지보다는 효율을 강조한 것이다. 여기서 스웨덴 국민들은 중도우파의 손을 들어주었다.

그 이유는 다른데 있지 않다. 높은 실업률, 방만한 공공부문 운영, 관료주의 등 복지국가 그늘이 스웨덴 국민들의 마음을 바꿔 먹게 했다는 지적이 지배적이다. 특히 실업률 문제가 그러했다. 집권여당은 실업률이 5.7%라고 말해왔지만 통계와 현실의 괴리를 절감하고 있던 국민들에게는 실질실업률이 20%에 달한다는 야당의 주장이 더 와닿았을 것이다. 솔직히 복지를 마다할 국민들이 세계 어디에 있겠는가. 그 중에서도 스웨덴 국민들은 복지에 가장 익숙한 국민들이다. 그런 스웨덴 국민들이 구호물품 대신 일자리 창출로 복지수준을 높이겠다는 야당을 선택하고 나섰다.

성장이냐 복지냐 아직도 논란을 벌이고 있는 우리에게 주는 교훈이 적지 않다. 참여정부가 복지모델로 참고를 했다는 국가가 바로 스웨덴이고 보면 특히 그렇다. 복지국가를 자랑하던 국가들도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創出)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쪽으로 회귀하고 있는 마당인데 성장에 매진해도 시원찮을 국가가 성급하게 복지 우선을 들고 나오면 그 결과가 어찌될지는 너무도 뻔하다. 스웨덴 선거 결과는 새로운 성장없이 지속적인 복지는 불가능하며, 특히 일자리가 최고의 복지라는 사실을 다시 한번 확인해 주고 있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