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 발전에 대한 국민들의 이미지는 그다지 좋지 않은 편이다.

체르노빌 등 대형 원전 사고를 먼저 연상하거나 전남 부안처럼 방사선폐기물처리장을 둘러싸고 민.관 갈등이 벌어지는 사례가 떠오르기 때문이다.

원전의 운영실적이나 기술력이 높은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국민들은 원전에 대해 막연한 불안감을 떨치지 못하고 있다.

원자력과 관련한 의문점을 문답형식으로 풀어본다.


Q:원자력 안전은 무엇이고 안전규제란 무엇인가?

A:원자력 이용에는 불가피하게 방사선 위험이라는 안전문제가 발생한다. 원자력 이용에 따른 안전성 확보를 위해 국가가 책임지고 공권력을 행사하는 것을 말한다.


Q:무엇이 원자력의 안전규제 대상인가?

A:원자력발전소는 건설 계획부터 준공까지 10년 이상이 소요된다. 원자력 발전소의 설계 제작 건설 운영과 해체의 전 과정 하나하나가 모두 안전규제의 대상이다. 특히 상업운전 시행 후에는 정기검사와 각종 심사 검사를 계속 실시하고 있다.


Q:방사성폐기물이란?

A:원자력을 이용하는 기관에서 발생하는 방사성물질과 방사성물질에 의해 오염된 물질로 폐기 대상이 되는 것이다. 이 중 방사능이 많이 방출되는 사용 후 핵연료 등은 고준위 폐기물로,그 이외에 작업복.덧신.폐필터 등 방사능이 적게 방출되는 것은 중.저준위 폐기물로 각각 구분해 폐기하고 있다.


Q:방사성폐기물은 고체폐기물만 있나.

A:아니다. 액체와 기체 폐기물도 있다. 기체 방사성폐기물은 원자로 냉각재 계통 내에 녹아 있다가 빠져나오는 방사성 기체로 인해 발생되며,액체 방사성폐기물은 원자로 냉각재를 처리하는 과정과 방사선방호복 등을 세탁하는 과정에서 나온다.

기체 방사성폐기물은 필터를 이용해 여과시키거나 감쇠탱크를 이용한 지연 등의 방법으로,액체 방사성폐기물은 여과 이온교환 증발농축 등의 방법을 사용해 일정 기준 이하로 방사능이 줄어들면 밖으로 내보낸다.


Q:환경방사능 감시는 어떻게 이뤄지나

A:원자력 이용시설 주변 환경방사능 감시는 일차적으로 해당 사업자가 수행하고 정부가 이를 확인하는 형태로 이뤄지고 있다.

이와 별도로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은 주기적으로 원자력 이용시설 주변에 대한 환경 감시를 하고 원전 부지 주변에 공간감마선량률계를 설치,실시간 모니터링 결과를 주민들에게 전광판으로 공개하고 있다. 최근에는 원전 운영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지방자치단체가 자체적으로 환경조사를 하기도 한다.


Q:방사능 방재 훈련은.

A:정부와 지자체,한국수력원자력㈜ 등 주체별로 분기별 훈련(연 4회),전체훈련(연 1회),합동훈련(4년에 1회),정부 차원의 연합훈련(5년에 1회) 등을 실시하고 있다.

이 중 합동훈련은 원자력 발전소 주변 8~10km 이내에 거주하는 주민들까지 포함하는 종합 훈련이다.


Q:방사선 비상 상황이 발생하면 어떻게 해야 하나.

A:원자력 발전소에서 방사선 비상 상황이 발생하면 민방위 경보망.TV와 라디오.발전소 비상경보망(반경 2km 이내).차량 가두방송.민방위대원 호텔방문.전화 등을 통해 주민들에게 신속하게 사태가 알려진다. 비상 경보를 듣게 되면 자체 대피 안내에 따라 행동해야 하며,외출 중이거나 논.밭에 있을 경우에는 즉시 집으로 돌아가는 것이 원칙이다. '실내로 대피하라'는 통보를 받으면 집으로 돌아가 장독대와 창문 등을 꼭 닫고 방송에 귀를 기울여야 하며,'대피소로 대피하라'는 통보를 받았을 때는 놀라지 말고 침착하게 비상요원의 안내를 받아 대피해야 한다. 해당 지역의 치안은 경찰이 유지한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