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행성 게임 비리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은 30일 김민석 한국컴퓨터게임산업중앙회(한컴산) 회장을 체포해 조사 중이다.

검찰은 전날 밤 10시께 수사관들을 김 회장의 자택에 보내 컴퓨터와 예금통장 등 관련 자료를 확보했고, 법원에서 발부받은 체포영장으로 김 회장의 신병을 확보했다.

김씨는 밤늦게 수사관들이 들이닥치자 36층인 자택에서 컴퓨터 저장장치와 휴대전화를 밖으로 던져 파손하고 회계장부를 찢는 등 일부 증거 인멸을 시도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2003년 한컴산 회장으로 선출된 뒤 상품권 인증제 도입을 주도한 인물로 알려진 김씨는 최근 상품권 업체 지정과 관련해 정치권 로비를 맡았고, 회장 선출 과정에서 사행성 게임기 업체의 지원을 받았다는 의혹까지 받고 있다.

검찰은 김씨가 영상물등급위원회의 게임물 등급 심의에 로비를 벌였다는 정황을 포착하고 상품권 수사를 맡은 특수2부가 아니라 영등위 로비 의혹을 수사하는 마약ㆍ조직범죄수사부 수사관들을 보내 신병을 확보했다.

일각에서는 상품권 시장을 선점했던 안다미로의 김용환 대표가 후발업체를 밀어내기 위해 문화관광부 등 관련 기관 관계자들과 만나 상품권 인증제 도입을 구상했고 한컴산이 이를 측면에서 지원했다는 주장도 있어 이 단체와 김용환씨의 관계를 놓고도 의혹이 증폭되고 있다.

김씨는 또 한국게임산업개발원이 갖고 있는 상품권 발행업체 지정권한을 갖기 위해 정ㆍ관계에 로비를 했고, 상품권 폐지법안 폐기에도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이 단체의 전직 고위 임원은 상품권 발행업체로 지정받을 수 있도록 해주겠다며 업체마다 수억원을 갹출해 20억원 안팎의 로비자금을 조성했다는 혐의로 올 초 서울동부지검에서 이뤄진 상품권 수사의 대상이 됐다.

검찰은 문화부가 2004년 7월 경품용 상품권 폐지 방침을 밝힌 뒤 한컴산의 의견을 구해 인증제로 제도를 바꿨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문화부와 한컴산 관계자들을 불러 조사할 계획이다.

김민석씨는 최근 "게임기 압수, 상품권제 폐지 등으로 게임장들이 파탄나게 됐다.

행정소송, 헌법소원 등 법적 대응을 준비 중이다"고 밝힌 바 있다.

검찰 관계자는 "영등위와 상품권 업체들이 복잡하게 얽혀 있고 겹치는 부분도 있다"며 수사가 양쪽으로 광범위하게 진행될 것을 예고했다.

(서울연합뉴스) 이광철 기자 minor@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