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준 교육부총리가 취임 후 13일 만인 어제 사퇴의사를 밝혔다.

두뇌한국(BK) 21사업과 관련한 논문의 이중 제출,논문 중복 게재,연구비 이중 수령,학위거래 의혹 등을 둘러싼 갖가지 파문(波紋)에 휩쓸려 결국 도중하차하고 만 것이다.

제자의 논문표절 의혹으로 촉발된 이번 파문은 사퇴표명에 따라 일단 수습 국면에 접어들기는 했지만 그간의 과정을 통해 참여정부 인사의 문제점이 또한번 그대로 드러났다는 점에서 짚고 넘어가야 할 게 한두 가지가 아니다.

왜 이런 일이 일어났는지 철저하게 따져보고 이번 사태를 전화위복(轉禍爲福)의 계기로 삼아야 할 것임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사실 참여정부는 출범하면서부터 인사수석실을 신설하고,추천과 검증을 서로 다른 부서에 맡겨 견제토록 하는 등 시스템에 의한 인사를 하겠다고 입버릇처럼 강조해 왔다.

하지만 장관등 고위직 인사 때마다 측근 중심의 이른바 '코드 인사'문제로 논란이 끊이지 않았으며 이번에도 애당초 여당에서조차 반대여론이 만만치 않은 인물을 부총리로 지명했다는 점에서 예외는 아니었다.

물론 정부 정책을 결정하는 고위직에 대통령과 뜻을 같이하고 개혁 철학을 공유할 수 있는 인물을 앉히는 것은 당연한 일로 받아들일 수 있다.

하지만 이번 사태에서도 드러났듯이 능력이나 전문성 등에 대한 철저한 검증작업을 제대로 거치지 않은 채 코드를 이유로 한 인선을 강행한다면 이는 보통 심각한 문제가 아니다.

특히 이기준 전 교육부총리의 사퇴를 계기로 고위직 인사에 대한 검증 장치로 도입된 국회 상임위의 인사청문회도 허술하기 짝이 없는 실정이다.

이처럼 고위직 인사에 대한 청와대와 정부,국회의 검증시스템 가운데 어느 하나도 제대로 기능을 못하는 상황에서는 인사 파문이 반복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정부 당국과 교육계는 이번 사태를 원만하게 매듭짓고 이러한 일이 재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대책을 강구(講究)해 나가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이번 사태를 통해 기존 인사검증시스템에 큰 허점이 있음이 단적으로 드러난 만큼 고위직 인사의 철저한 검증 등 인사시스템에 대한 전면적 점검과 보완을 서둘러야 할 것이다.

특히 그동안 우리 학계의 관행이 되다시피 해온 논문 표절 등 학문적 사기행위를 뿌리뽑기 위해 논문 관리와 평가,검증시스템도 강화해 나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