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교도소가 수용자의 원활한 사회적응을 돕기 위해 분류심사 및 처우를 단계적으로 달리하는 `맞춤형' 교정시설로 탈바꿈한다.

법무부는 26일 "올해 시범기관 운영을 거쳐 전국의 교정시설을 일반 경비시설, 완화 경비시설, 개방시설, 중경비시설 등 4단계로 재편하고 이를 2008년까지 단계적으로 전국의 수용시설에 적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법무부에 따르면 수용 초기 시설 적응 단계에서는 일반 경비시설에 수용되고 이 기간에 수용계획 수립, 가족관계 회복, 종교 지도 등의 교정ㆍ교화 프로그램이 운용된다.

이후 교화 중점 단계에서는 경비가 완화된 완화경비시설에서 직업훈련 등을 받으며 사회 적응단계에서는 보다 자율적인 개방시설로 옮겨 사회복귀와 취업 준비를 하게 된다.

예를 들어 징역 7년을 선고받은 수용자는 1년차에 기초 적응 및 종교지도, 2~3년차에 대학과정과 정보화 교육, 가족과 유대관계 형성, 4년차에는 어학 및 직업교육, 5~6년차에는 직업훈련 숙련과정, 7년차에는 사회적응 및 취업훈련 등 사회복귀 준비에 초점을 맞춘 프로그램에 따라 생활하게 된다.

연차별ㆍ단계별로 특정한 교정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교도소를 옮겨다니며 사회에 복귀할 준비를 한다는 것이다.

법무부는 이와 함께 분류의 전문화ㆍ과학화하기 위해 심리검사 전문가를 특별채용하고, 기존 분류 업무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임상심리 및 상담심리 교육을 강화해 나갈 방침이라고 전했다.

(서울연합뉴스) 조성현 기자 eyebrow76@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