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여록] 허전한 펀드투자 유인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펀드 투자자들에게 많은 이익이 돌아가는 획기적인 내용이라고 자부합니다."
금융감독위원회 관계자는 최근 '펀드 장기투자 활성화 및 투자자 보호 인프라 개선'이라는 긴 제목의 보도자료를 낸 뒤 이같이 강조했다.
이 자료에는 향후 5년,10년을 내다보는 장기 펀드투자를 유도하기 위해 투자기간이 길수록 수수료 부담이 낮아지는 펀드 상품이 활성화되도록 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증시 안정과 함께 자본시장의 경쟁력을 높이고 나아가 정부가 추구하는 동북아 금융허브 도약을 지원하는 데 장기 펀드투자 문화의 정착이 꼭 필요하다는 판단이 반영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펀드 투자자나 자산운용사 등의 반응은 그다지 신통치 않다.
아직 내용을 잘 몰라서 그럴 수도 있지만,그보다는 줄곧 요구해왔던 장기 투자자에 대한 세제 지원책이 이번에도 빠져있는 데 더 큰 원인이 있어 보인다.
"정부는 양극화 해소 등을 위한 재정이 없어 세제 혜택을 받던 기존 금융상품도 줄여가는 마당에 새로 혜택을 주기가 어렵다고 합니다.
또 세제 혜택없이도 적립식 투자가 계속 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하지만 적립식 펀드를 중산·서민층의 건전한 재테크 수단으로 적극 육성하려는 발상의 전환도 필요하지 않을까요."(자산운용사 A사장)
저금리가 고착화되고 정부의 강력한 의지로 부동산 투자가 원천 봉쇄된 상황에서 펀드 투자가 사실상 유일한 중산·서민층의 재산불리기 수단이 되고 있는 만큼 연간 투자액의 일부를 소득공제해주는 방식으로 지원하는 것도 의미있지 않느냐는 지적이다.
금감위 실무자에게 A사장의 얘기를 가감없이 전했더니 그 역시 "아쉬움이 남는 대목이지만 지난해 재정경제부와의 협의에서 곤란하다고 결론이 난 상황에서 재차 검토를 요구하기는 어려웠다"고 했다.
하지만 "장기 적립식 펀드 투자에 대한 세제 혜택으로 서민층의 부자를 향한 꿈을 되살릴 수 있다면 이게 오히려 양극화 해소에 도움이 될 뿐 아니라 증시 안정과 자본시장 활성화,금융산업 강화 등의 부수효과도 클 것"이라는 A사장의 주장은 여전히 여운이 남는 대목이다.
김수언 증권부 기자 sookim@hankyung.com
금융감독위원회 관계자는 최근 '펀드 장기투자 활성화 및 투자자 보호 인프라 개선'이라는 긴 제목의 보도자료를 낸 뒤 이같이 강조했다.
이 자료에는 향후 5년,10년을 내다보는 장기 펀드투자를 유도하기 위해 투자기간이 길수록 수수료 부담이 낮아지는 펀드 상품이 활성화되도록 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증시 안정과 함께 자본시장의 경쟁력을 높이고 나아가 정부가 추구하는 동북아 금융허브 도약을 지원하는 데 장기 펀드투자 문화의 정착이 꼭 필요하다는 판단이 반영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펀드 투자자나 자산운용사 등의 반응은 그다지 신통치 않다.
아직 내용을 잘 몰라서 그럴 수도 있지만,그보다는 줄곧 요구해왔던 장기 투자자에 대한 세제 지원책이 이번에도 빠져있는 데 더 큰 원인이 있어 보인다.
"정부는 양극화 해소 등을 위한 재정이 없어 세제 혜택을 받던 기존 금융상품도 줄여가는 마당에 새로 혜택을 주기가 어렵다고 합니다.
또 세제 혜택없이도 적립식 투자가 계속 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하지만 적립식 펀드를 중산·서민층의 건전한 재테크 수단으로 적극 육성하려는 발상의 전환도 필요하지 않을까요."(자산운용사 A사장)
저금리가 고착화되고 정부의 강력한 의지로 부동산 투자가 원천 봉쇄된 상황에서 펀드 투자가 사실상 유일한 중산·서민층의 재산불리기 수단이 되고 있는 만큼 연간 투자액의 일부를 소득공제해주는 방식으로 지원하는 것도 의미있지 않느냐는 지적이다.
금감위 실무자에게 A사장의 얘기를 가감없이 전했더니 그 역시 "아쉬움이 남는 대목이지만 지난해 재정경제부와의 협의에서 곤란하다고 결론이 난 상황에서 재차 검토를 요구하기는 어려웠다"고 했다.
하지만 "장기 적립식 펀드 투자에 대한 세제 혜택으로 서민층의 부자를 향한 꿈을 되살릴 수 있다면 이게 오히려 양극화 해소에 도움이 될 뿐 아니라 증시 안정과 자본시장 활성화,금융산업 강화 등의 부수효과도 클 것"이라는 A사장의 주장은 여전히 여운이 남는 대목이다.
김수언 증권부 기자 soo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