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북한의 미사일 시험 발사에 대해 주변국과 공조해 '외교적이고 정치적으로' 해결하기로 입장을 정리해 가고 있다.

북한을 6자회담으로 다시 끌어내는 것이 목표다.

정부가 겉으로는 북한을 강력히 비난하고 식량 지원을 유보하기로 하는 등 강경한 방침이지만 한 편에서는 6자회담 참가국들 간의 접촉이 다시 활발해지고 있다.

이번에도 관건은 중국이 얼마나 적극적으로 협조할 것인가다.


○정부,'정치적·외교적 해결'

노무현 대통령은 6일 오전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갖고 북한 미사일 발사 문제를 외교적으로 해결해 나가기로 의견을 모았다고 정태호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정 대변인은 "노 대통령이 통화에서 송민순 통일외교안보실장의 방미와 이달 예정된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의 방한,9월 한·미 정상회담 등 한·미 양국 간 주요 협의 계기를 적극 활용하고 중국 일본 러시아 등과도 긴밀히 협의키로 했다"고 말했다.


○6자회담 되살리는 게 목표

북한이 국제 사회의 거듭된 경고를 무시하고 미사일 시험 발사를 강행한 극단적인 상황이다.

하지만 6자회담 참가국들의 관심이 다시 북한에 집중되는 전기적 충격이 된 것도 사실이다.

회담을 되살리기 위한 참가국들의 노력은 사실상 지난 봄부터 정체돼 있었다.

북한 이슈가 시급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미국측 회담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차관보는 6일 미국을 출발해 회담 참가국인 중국 한국 일본 러시아를 차례로 방문한다.

힐 차관보는 8일 천영우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만나 북한을 6자회담으로 끌어내기 위한 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적극적 참여가 관건

물론 북한이 미국의 선(先)제재 중단을 주장하고 미국은 무조건적 회담 복귀를 요구하는 등 참가국들의 입장에 큰 변화가 없기 때문에 묘수가 보이지는 않는다.

특히 일본은 북한 화물선 만경봉호의 6개월간 입항 금지를 골자로 한 9개항의 대북 경제제재 조치를 취한 데 이어 송금 차단 등 추가 제재 검토에 들어가는 등 대북 정책이 더욱 강경해졌다.

정부 당국자는 "중국이 북한에 대한 영향력이 가장 큰 나라라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다"며 "중국의 역할이 관건"이라고 말했다.

정지영 기자 c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