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미사일 발사] 美-北 대립각 해소‥中 이번에도 나설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부가 북한의 미사일 시험 발사에 대해 주변국과 공조해 '외교적이고 정치적으로' 해결하기로 입장을 정리해 가고 있다.
북한을 6자회담으로 다시 끌어내는 것이 목표다.
정부가 겉으로는 북한을 강력히 비난하고 식량 지원을 유보하기로 하는 등 강경한 방침이지만 한 편에서는 6자회담 참가국들 간의 접촉이 다시 활발해지고 있다.
이번에도 관건은 중국이 얼마나 적극적으로 협조할 것인가다.
○정부,'정치적·외교적 해결'
노무현 대통령은 6일 오전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갖고 북한 미사일 발사 문제를 외교적으로 해결해 나가기로 의견을 모았다고 정태호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정 대변인은 "노 대통령이 통화에서 송민순 통일외교안보실장의 방미와 이달 예정된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의 방한,9월 한·미 정상회담 등 한·미 양국 간 주요 협의 계기를 적극 활용하고 중국 일본 러시아 등과도 긴밀히 협의키로 했다"고 말했다.
○6자회담 되살리는 게 목표
북한이 국제 사회의 거듭된 경고를 무시하고 미사일 시험 발사를 강행한 극단적인 상황이다.
하지만 6자회담 참가국들의 관심이 다시 북한에 집중되는 전기적 충격이 된 것도 사실이다.
회담을 되살리기 위한 참가국들의 노력은 사실상 지난 봄부터 정체돼 있었다.
북한 이슈가 시급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미국측 회담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차관보는 6일 미국을 출발해 회담 참가국인 중국 한국 일본 러시아를 차례로 방문한다.
힐 차관보는 8일 천영우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만나 북한을 6자회담으로 끌어내기 위한 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적극적 참여가 관건
물론 북한이 미국의 선(先)제재 중단을 주장하고 미국은 무조건적 회담 복귀를 요구하는 등 참가국들의 입장에 큰 변화가 없기 때문에 묘수가 보이지는 않는다.
특히 일본은 북한 화물선 만경봉호의 6개월간 입항 금지를 골자로 한 9개항의 대북 경제제재 조치를 취한 데 이어 송금 차단 등 추가 제재 검토에 들어가는 등 대북 정책이 더욱 강경해졌다.
정부 당국자는 "중국이 북한에 대한 영향력이 가장 큰 나라라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다"며 "중국의 역할이 관건"이라고 말했다.
정지영 기자 cool@hankyung.com
북한을 6자회담으로 다시 끌어내는 것이 목표다.
정부가 겉으로는 북한을 강력히 비난하고 식량 지원을 유보하기로 하는 등 강경한 방침이지만 한 편에서는 6자회담 참가국들 간의 접촉이 다시 활발해지고 있다.
이번에도 관건은 중국이 얼마나 적극적으로 협조할 것인가다.
○정부,'정치적·외교적 해결'
노무현 대통령은 6일 오전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갖고 북한 미사일 발사 문제를 외교적으로 해결해 나가기로 의견을 모았다고 정태호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정 대변인은 "노 대통령이 통화에서 송민순 통일외교안보실장의 방미와 이달 예정된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의 방한,9월 한·미 정상회담 등 한·미 양국 간 주요 협의 계기를 적극 활용하고 중국 일본 러시아 등과도 긴밀히 협의키로 했다"고 말했다.
○6자회담 되살리는 게 목표
북한이 국제 사회의 거듭된 경고를 무시하고 미사일 시험 발사를 강행한 극단적인 상황이다.
하지만 6자회담 참가국들의 관심이 다시 북한에 집중되는 전기적 충격이 된 것도 사실이다.
회담을 되살리기 위한 참가국들의 노력은 사실상 지난 봄부터 정체돼 있었다.
북한 이슈가 시급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미국측 회담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차관보는 6일 미국을 출발해 회담 참가국인 중국 한국 일본 러시아를 차례로 방문한다.
힐 차관보는 8일 천영우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만나 북한을 6자회담으로 끌어내기 위한 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적극적 참여가 관건
물론 북한이 미국의 선(先)제재 중단을 주장하고 미국은 무조건적 회담 복귀를 요구하는 등 참가국들의 입장에 큰 변화가 없기 때문에 묘수가 보이지는 않는다.
특히 일본은 북한 화물선 만경봉호의 6개월간 입항 금지를 골자로 한 9개항의 대북 경제제재 조치를 취한 데 이어 송금 차단 등 추가 제재 검토에 들어가는 등 대북 정책이 더욱 강경해졌다.
정부 당국자는 "중국이 북한에 대한 영향력이 가장 큰 나라라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다"며 "중국의 역할이 관건"이라고 말했다.
정지영 기자 c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