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규제가 글로벌 스탠더드에 맞게 정비돼야 한다.

우수 금융인력에 대해 성과급을 과감하게 지급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갖춰져야 한다.'

윤증현 금융감독위원장이 최근 "국내 금융부문에선 왜 삼성전자와 같은 세계적인 금융회사가 없나"라는 화두를 던지자 금융계 안팎의 전문가들이 제시하는 해법이다.

이들은 "장기적으로 볼 때 금융의 삼성전자도 탄생할 수 있다"고 자신한다.

윤용로 금감위 상임위원은 "20년 이상 주가지수 1000에 도전하다가 실패했지만 어느 순간 1000포인트대에 안착했듯 금융의 삼성전자도 그렇게 생겨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현재로선 '금융의 삼성전자'를 가로막는 장애물이 적지 않다고 지적한다.

최흥식 한국금융연구원장은 "삼성전자가 글로벌플레이어로 성장한 것은 그룹 차원의 집중적인 투자와 인재지원,그리고 탁월한 경영력 리더십이 결합된 결과"라며 "금융회사들이 글로벌 무대로 진출할 수 있도록 정부가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가 금융산업 육성 의지를 갖고 규제완화,인재육성 등에 나서야 한다는 얘기다.

남궁훈 생보협회장도 "금융의 경우 제조업과 달리 공익성 공공성이 중요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규제가 필요한 측면도 있다"면서 "그러나 자율적인 영업활동까지 막는 규제는 곤란하다"고 꼬집었다.

안공혁 손보협 회장은 "업종 간 장벽을 더 무너뜨려야 하며 다원화돼 있는 감독기능도 일원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윤창현 서울시립대 교수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외환 등과 같은 금융상품을 갖고 플레이할 수 있어야 글로벌 플레이어가 될 수 있다"며 "정부가 다소 의도적이라고 생각될 정도로 산업정책적 차원에서 IB(투자은행)를 키워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해외 진출을 적극 장려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되고 있다.

권순우 삼성경제연구소 수석 연구원은 "그동안 금융산업이 실물경제의 보조자 정도로 인식돼 금융회사의 활동영역이 국내로 한정됐다"며 "앞으로는 금융산업을 독립적인 산업으로 바라보고 중국 인도 등 신흥시장에 진출토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네덜란드의 경우도 ING그룹,ABN암로 등 금융회사들이 포화상태이던 자국 내 시장에서 과당경쟁을 하다가 해외로 진출하기 시작해 큰 성공을 거뒀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또 인재육성이 절실하다고 입을 모았다.

"금융업에는 사람하고 컴퓨터밖에 없다"(윤 상임위원)는 인식 때문이다.

삼성전자의 경우도 국내외를 가리지 않고 우수한 인재를 과감하게 채용해 적재적소에 기용하는 '인재경영' 덕분에 급성장했다는 게 금융 전문가들의 생각이다.

강권석 기업은행장은 "무엇보다 글로벌 플레이가 가능한 인재육성이 가장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어 "전문성을 바탕으로 종합금융서비스가 가능한 시스템을 갖추는 것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우선 우수한 금융 전문인력을 적극 확보하되 실무를 통해 잠재력 있는 인재를 훈련,육성해나가는 장기적인 투자가 동반돼야 한다"(신동규 수출입은행장)는 의견도 나왔다.

이성태·정인설 기자 stee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