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덧 우리도 카베르네 쇼비뇽,쉬라즈 등의 이름에 익숙해져 가고 있다.

와인을 구매할 때 이런 포도 품종을 고려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소비자의 이런 경향에 따라 와인 생산자들은 라벨에 포도 품종을 표시하는 것을 암묵적인 의무로 여기고 있다.

처음부터 그랬던 것은 아니다.

라벨에는 일반적으로 보르도나 메독처럼 원산지를 표시해 왔다.

라벨의 변화는 구대륙 와인과 신대륙 와인의 라벨 싸움에서 촉발됐다.

전 세계 와인 생산 지역은 크게 두 곳으로 나뉜다.

바로 구대륙과 신대륙이다.

구대륙은 와인의 역사와 전통이 깊은 유럽의 프랑스 이탈리아 등지를 말한다.

반면 최근 1세기 동안 와인 생산량이 비약적으로 증가한 데 힘입어 급성장한 미국 호주 칠레 등을 신대륙이라 일컫는다.

초기 신대륙은 당연히 와인의 역사와 전통이 구대륙에 비해 짧고 시장도 협소했다.

그래서 신대륙 와인 회사들은 구대륙과의 경쟁에 밀리게 마련이었고 신대륙 와인 생산자들 중에는 구대륙의 원산지 이름을 도용하는 이들도 많았다.

신대륙의 짝퉁 생산에 화가 치민 구대륙 생산자들은 원산지 도용을 막기 위해 국제 소송을 제기해 승소하게 된다.

이로써 신대륙은 유럽과 같은 포도 품종 및 같은 양조법으로 품질에서 뒤지지 않는 와인을 생산했더라도 구대륙의 원산지 이름을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신대륙 와인 생산자들은 하는 수 없이 다른 마케팅 기법을 개발해야만 했다.

궁리 끝에 신대륙 와인 회사들은 원산지보다 포도 품종을 더 부각시킨 라벨을 부착하기 시작했다.

즉,소비자에게 포도 산지 못지않게 포도 품종도 와인 품질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각인시키는 전략을 채택한 것이다.

신대륙 와인 회사들이 이런 전략을 쓰기 전에는 소비자들은 와인을 선택할 때 으레 보르도 메독 등 포도 원산지 이름을 고려하면서 와인을 구매했다.

예를 들어 "메독 주세요"라고 하지 "카베르네 쇼비뇽(품종)과 멜롯(품종)이 브랜딩된 메독산(원산지) 주세요"라고 말하지 않는다.

이제 소비자들은 신대륙 와인 생산자들 덕분에 카베르네 쇼비뇽,피노 누아,샤도네이 등과 같은 포도 품종 이름을 알기 시작했다.

소비자들은 포도 품종을 기준으로 자신이 좋아하는 스타일의 와인을 보다 쉽게 선택할 수 있게 되었고 포도 품종에 대한 지식도 대중화되었다.

신대륙의 역동적인 마케팅은 구대륙에도 영향을 미쳐 현재는 구대륙의 와인 라벨에서도 포도 품종 이름을 쉽게 찾아볼 수 있게 됐다.

와인을 구매할 때 포도 품종은 같은데 대륙이 다른 와인을 함께 찾아보는 것도 재미 있을 듯하다.

< 그랜드인터컨티넨탈 호텔 소믈리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