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최대 규모의 학교 급식 사고가 발생했다.

위탁급식회사인 CJ푸드시스템이 공급한 식사를 먹은 수도권 지역 학생들이 구토,발열,복통,설사 등의 증상을 보이자 교육당국이 급식 중단을 지시했다.

○68개 중·고교 급식중지 명령

교육인적자원부와 서울시교육청,인천시교육청은 CJ푸드시스템이 점심식사를 제공하는 서울과 인천 경기 지역 23개 학교 1500여명의 학생들이 지난 16일부터 집단설사 등의 증상을 호소했다고 22일 발표했다.

이에 따라 교육당국은 CJ푸드시스템이 급식을 공급하는 68개 중·고교에 긴급 급식중지 명령을 내렸다.

이 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을 모두 합하면 7만명이 넘는다.

60여곳의 학교에 한꺼번에 급식중지 조치가 내려진 것은 유례가 없는 일이다.

이날까지 교육부에 보고된 피해 학교와 학생은 서울 숭의여중·고 등 14개교,인천 가좌여중 외 8개교,경기도 홍천고 등이다.

이 중 서울의 3개교는 지난 16일 사고가 발생했으며 나머지 학교들은 21일과 22일에 피해사례가 신고됐다.

하지만 시간이 갈수록 피해신고가 늘어나고 있어 사고 학교의 수는 더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교육부는 CJ푸드시스템이 이들 학교에 공급되는 식재료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해 학생들이 식중독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고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서울과 인천의 경우 이 회사의 인천 물류센터를 통해 일괄적으로 식재료를 학교로 배송하고 있다.

경기도 지역의 경우 수원물류센터를 이용해 식재료를 공급한다.

○식중독 판명되면 영업허가 취소

서울시 교육청은 서울시와 식품의약품안전청에 CJ푸드시스템의 식재료 처리장,물류센터 시스템 등에 대한 위생점검을 요청했다.

이와 함께 다른 위탁급식업체로부터 급식을 공급받는 서울 시내 학교를 긴급히 점검,CJ푸드시스템 사건과 유사한 사고의 재발을 막을 계획이다.

집단설사 증상이 발생하자 식약청도 강경대응에 나섰다.

조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 CJ푸드시스템의 식자재에 대한 출하를 중단시키기로 결정했다.

식약청은 식중독으로 판명되면 CJ푸드시스템에 가장 강력한 처분인 영업허가 취소조치를 내릴 방침이다.

영업허가 취소조치가 내려지면 CJ푸드시스템은 6개월간 같은 업종으로 영업 허가를 신청할 수 없게 된다.

위탁급식업체 등록업무를 맡고 있는 서울시 산하 구청들도 식품위생법 시행규칙에 따라 위반 정도에 따라 영업정지나 영업점 폐쇄를 결정할 방침이다.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나올경우 영업점 폐쇄 조치가 내려지게 된다.

○도시락으로 점심식사해야

급식사고가 이미 벌어진 학교들의 상당수는 오전 수업을 마치고 학생들을 모두 귀가시켰다.

급식사고로 인한 학생들의 동요 때문이다.

서울 S여고는 전교생의 약 10%인 130명이 21일부터 식중독 유사증세를 보임에 따라 단체급식과 식수 급수를 중단하고 매점을 폐쇄한 채 이틀간 단축수업을 실시했다.

앞으로 CJ푸드시스템으로부터 급식을 공급받아온 수도권 소재 학교들은 급식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도시락을 싸가지고 등교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S여고의 경우 학부모들에게 23일부터 학생들이 점심 도시락을 싸 오도록 해 달라고 요청하는 가정통신문을 보냈다.

이번 사태에 대해 CJ푸드시스템측은 외부와의 연락을 끊은 채 사태 추이를 유심히 지켜보고 있다.

다른 급식업체들도 교육청의 추가 조사가 있을 것으로 예상돼 비상 사태에 돌입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급식을 전면 중단시킨 것은 전례 없는 일"이라며 "불똥이 튀지 않을까 걱정"이라고 말했다.

송형석·박동휘·임도원 기자 click@hankyung.com